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013 vote 0 2021.10.07 (11:09:05)

    세상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니 세상이라는 집을 짓는 뼈대가 된다. 구조는 의사결정구조다. 의사결정은 사건 속에서 일어난다. 구조론은 사건을 해명하는 이론이다. 일찍이 사물에 대한 관점은 있었어도 사건에 대한 관점은 없었다. 사건을 어떻게 볼 것인가? 의사결정은 닫힌계 내부에서 대칭을 이루고 축을 이동시켜 또다른 대칭을 만드는 형태로 일어난다. 사건에는 공간의 방향과 시간의 순서가 있으니 질서가 된다. 사건에는 질서가 있으므로 우리는 사건의 다음 단계를 내다볼 수 있다.


    자연이 먼저 있었고 인간이 나중 왔으며 자연과 인간의 상호작용에서 변화가 일어났고 인간의 지식은 변화에 대응하는 것이다. 변화를 어떻게 추적할 것인가? 변화는 움직이고 움직임을 따라잡는 과정에 관점의 이동이 일어난다. 주체의 관점과 객체의 관점이 있다. 보통은 객체의 변화를 추적하지만 주체도 변한다는게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이다. 불변의 잣대로 변화를 계측할 수 있다. 사물이 궁극적인 단계에서는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는 것이 원자론이고 그것도 변하더라는게 양자역학이다. 사물은 변하지만 그 사물을 태우고 가는 사건의 구조는 변하지 않는다. 사건의 질서야 말로 우리가 의지해야할 불변의 절대진리다.


    영어 truth는 단순히 참인 진술을 뜻하지만 우리말 진리는 절대적이고 유일하고 불변하며 의지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심오하다. 사물에는 그것이 없지만 사건에는 그것이 있다. 사건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진다. 의사결정이 일어나는 사건의 연결고리를 장악하고 통제할 수 있다. 하나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일만 개의 가로등을 켜고 끌 수 있다. 산의 정상처럼 뾰족한 그것은 있다. 그것을 표현하기에는 인간의 언어가 부족하다. 언어를 탓해야지 진리를 탓하면 안 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260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124
5552 구조론의 깨달음 1 김동렬 2019-11-27 3303
5551 교육은 물리적 제압이 정답이다 2 김동렬 2019-02-20 3305
5550 몬티홀의 수수께끼 1 김동렬 2019-08-17 3306
5549 통제가능성의 이해 3 김동렬 2019-09-14 3307
5548 트럼프가 못 이기는 이유 김동렬 2020-10-20 3307
5547 사색문제의 접근 image 4 김동렬 2020-12-08 3307
5546 화엄과 법화 1 김동렬 2020-09-11 3308
5545 신과 나 3 김동렬 2020-04-12 3309
5544 탈북자 공민권 박탈하라 2 김동렬 2020-06-15 3309
5543 그림의 몬티홀 image 김동렬 2019-08-15 3310
5542 근원의 것 김동렬 2021-04-19 3311
5541 구조론 다음은 없다 1 김동렬 2019-05-06 3312
5540 예정설과 만남설 3 김동렬 2019-01-12 3312
5539 MSG는 몸에 좋다 김동렬 2021-04-16 3312
5538 강정호와 기레기의 진정성 타령 2 김동렬 2020-06-23 3313
5537 노무현은 누구인가? 1 김동렬 2022-05-22 3314
5536 게임의 세계관 image 김동렬 2023-06-18 3315
5535 인간은 원래 보수다 김동렬 2020-10-18 3317
5534 이념의 진실 5 김동렬 2020-08-04 3319
5533 이해하기와 창의하기 1 김동렬 2022-07-24 3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