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금재.
read 2385 vote 0 2021.10.05 (02:34:36)

1. 미국의 입장(내가 영웅이다)

영웅은 나고 저놈은 나쁜놈이야. 어쨌든 세상은 선과 악의 이분법이야. 소련이 없어졌으니 이제 중국이 악이야. 나쁜 원자는 착한 짓을 해도 나쁘고, 좋은 원자는 나쁜 짓을 해도 좋지.

> 디파티드


2. 일본(홍콩)의 입장(나는 꼬붕이다)

일본과 홍콩은 대표적인 기생국이지. 영웅은 영미며 우리는 그들의 꼬붕이야. 우리 중에 영웅은 없어. 우리끼리 승자없이 경쟁하므로 여기는 지옥. 결과가 정해져 있으므로 뭘 해도 허무할 뿐.

> 무간도


3. 한국의 입장(우리가 영웅이다)

인간은 나쁘기도 좋기도 하지. 선과 악, 영웅과 악당이 누군지는 아직 알 수 없어. 게임을 하다보면 방향이 생기고 영웅은 만들어지는 거야. 

> 신세계


패권을 가진 미국, 미국의 꼬봉인 일본, 한창 성장하는 한국은 각자의 입장이 다르죠. 한국의 드라마가 세계인에게 받아들여지는 이유는 한국인이 성장 드라마를 그리기 때문입니다. 결론이 정해진 미국과 일본의 드라마는 재미가 없죠. 재미가 없는 것은 변화가 없는 것과 비슷한 겁니다. 그들의 인물 간 관계가 변화 없이 뻔하죠. 그래서 인물의 내적 변화에 집중하게 됩니다. 미국식 영웅은 슈퍼맨처럼 주로 또라이가 내적 각성하는 걸 조명하고, 일본은 영웅없이 에반게리온의 이카리신지같은 히키꼬모리가 끊임없이 내적 고민만 합니다. 일본영화의 제목이 길어지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소시민의 삶을 조명하기 때문. 주어나 목적어가 아닌 동사에 집중하기 때문에 문장을 사용하게 됩니다. 동사는 행위를 의미하며, 이는 일본인이 일상에서 재미를 찾자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한국이나 미국과는 관심 분야가 다른 겁니다. 한국영화 중에도 긴 제목을 가진 경우가 있는데, 돼지가 우물에 빠진날 처럼 대개 일본영화를 흉내낸 것입니다. 홍상수의 모든 영화 제목이 긴 이유. 홍상수 영화를 보면 가슴이 답답해집니다. 빠져나올 수 없는 지옥에서 허우적대는 인간을 찍기 때문. 군대에 가면 이카리신지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외부로 저항할 수 없는 지옥에서 할 수 있는 것은 자살뿐. 그래서 허무. 반면 한국식 영웅은 선과 악을 내부에 두루 갖추고 좌충우돌 하며 팀을 만들어 성장합니다. 즉 한국의 드라마는 인물 간 관계에 변화가 있어 바라보는 관객이 힘을 느낄 수 있습니다. 오징어게임의 결말에서 성기훈이 자신과 대결했던 조상우의 엄마에게 보은하는 것은 한국에서만 나올 수 있는 그림입니다. 물론 한국인에게는 너무 뻔한 거라 신파. 


인디언을 쏴죽이고 만들어진 미국, 미국의 똥꼬를 빨아 성장한 일본, 미중러 사이에 낑겨서 민주주의를 만들며 성장한 한국은 이야기의 결이 다릅니다. 

Drop here!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840
1990 달과 손가락. 6 아제 2010-02-03 4924
1989 집 한 채의 미학. 6 아제 2010-02-04 5048
1988 현시대의 지정학 2 눈내리는 마을 2010-02-05 4352
1987 여와복희도. 2 아제 2010-02-06 5985
1986 자와 콤파스. 1 아제 2010-02-06 5326
1985 점검. 아제 2010-02-07 4607
1984 구조론 시 아제 2010-02-08 4898
1983 전모를 보라. 6 아제 2010-02-08 4781
1982 채찍과 당근 5 오세 2010-02-08 5656
1981 야만. 2 오세 2010-02-10 4661
1980 구조의 피라미드. 2 아제 2010-02-10 5106
1979 뒤를 돌아보라. 1 아제 2010-02-12 4908
1978 특별한 날. 아제 2010-02-14 4841
1977 막걸리는 한 병이다. 3 아제 2010-02-16 5603
1976 내가 미친건가? 13 오세 2010-02-17 5228
1975 개인용 컴을 만든다면, 이 정도가 기본. 4 ░담 2010-02-19 15814
1974 연역과 귀납 5 아제 2010-02-20 6749
1973 꽃과 바위. 1 아제 2010-02-22 4746
1972 완전함에 의해서. LPET 2010-02-22 5380
1971 한국의 20대 초반 젊은이들에게 '구조론'이 말을 건다면. 눈내리는 마을 2010-02-22 7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