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503 vote 1 2021.09.21 (17:02:44)

  

모든 지식의 어머니가 되는 근본 지식은 인과율이다. 인과율이 뭔지 제대로 설명하는 사람은 없다. 인과율은 일종의 경험칙이다. 여기에 관측자 문제가 있다. 원인과 결과 사이에 시간 차가 있다. 그 시간은 뭘까? 왜 시간이 걸리지? 시간이라는게 정체가 뭐지? 


누가 공간을 물으면 허공을 가리키면 된다. 시간을 질문하면? 시계나 달력을 보여주랴? 태양을 가리켜? 밤에는 어쩌지? 인류의 문명이 의외로 허술한 기반 위에 서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이런 기본적이고 중대한 문제를 대충 넘어가는 안습함을 보이고 있다. 


검색해도 나오는게 없다. 시간은 관측자 개입이다. 원인과 결과 사이에 시간차가 있는 이유는 그것을 관측자가 알아보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로또 당첨은 마지막 공의 배출과 동시에 확정되지만 발표하는 데는 시간이 걸린다. 사회자는 괜히 시간을 끈다. 


아카데미 수상자는 이미 결정되어 있다. 사건의 당사자는 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의사결정 자체는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두 남자 중에 어느 남자를 신랑감으로 선택할지는 심중에 있다. 그것을 외부에 공표하는 데는 많은 시간이 걸린다. 


인과율의 시간은 외부 관측자에 대한 정보전달 시간이며 의사결정 자체와 관계가 없다. 공과 배트가 충돌했다. 배트가 밀려 파울인가, 공이 밀려 홈런인가? 맞는 순간에 결정된다. 시청자가 알아채는 데는 시간이 걸린다. 관측자인 사람이 둔하면 시간이 더 걸린다. 


콩 심은데 콩 나고 팥 심은데 팥 나는 데는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도둑이 팥을 훔쳐 가면? 외부변수 때문에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반대로 말하면 시간이 뭐지? 바로 그것이 시간이다. 시간은 관측자에 정보를 전달하는 시간이다. 관측자 수 만큼 시간이 지체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384 구조가 다섯인 이유 김동렬 2023-07-07 6643
6383 구조는 왜 다섯인가? 김동렬 2023-07-06 5850
6382 사냥꾼의 관점 김동렬 2023-07-06 4794
6381 역사의 고통 김동렬 2023-07-06 5038
6380 지능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23-07-05 4865
6379 전쟁을 막은게 성과다 1 김동렬 2023-07-04 5735
6378 존재는 액션이다 김동렬 2023-07-03 5306
6377 진보냐 폭력이냐 1 김동렬 2023-07-03 6497
6376 장미란 최윤희 추미애 2 김동렬 2023-07-02 5421
6375 에너지의 초대 김동렬 2023-06-29 6044
6374 윤씨의 폭언정치 1 김동렬 2023-06-28 6098
6373 이순신 장도 진품 맞다 3 김동렬 2023-06-27 6416
6372 모든 것의 어머니 김동렬 2023-06-26 6894
6371 푸틴의 실패와 좌파의 각성 김동렬 2023-06-25 6606
6370 인간은 왜 멍청한가? 김동렬 2023-06-25 6358
6369 구조의 빌드업 김동렬 2023-06-22 7094
6368 최성봉의 죽음 김동렬 2023-06-21 6448
6367 상대성이론이 이상해? 1 김동렬 2023-06-21 5953
6366 원자폭탄 맞은 일본 1 김동렬 2023-06-20 6488
6365 보편원리[도서 확인 부탁) image 김동렬 2023-06-20 55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