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054 vote 1 2021.09.21 (17:02:44)

  

모든 지식의 어머니가 되는 근본 지식은 인과율이다. 인과율이 뭔지 제대로 설명하는 사람은 없다. 인과율은 일종의 경험칙이다. 여기에 관측자 문제가 있다. 원인과 결과 사이에 시간 차가 있다. 그 시간은 뭘까? 왜 시간이 걸리지? 시간이라는게 정체가 뭐지? 


누가 공간을 물으면 허공을 가리키면 된다. 시간을 질문하면? 시계나 달력을 보여주랴? 태양을 가리켜? 밤에는 어쩌지? 인류의 문명이 의외로 허술한 기반 위에 서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이런 기본적이고 중대한 문제를 대충 넘어가는 안습함을 보이고 있다. 


검색해도 나오는게 없다. 시간은 관측자 개입이다. 원인과 결과 사이에 시간차가 있는 이유는 그것을 관측자가 알아보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로또 당첨은 마지막 공의 배출과 동시에 확정되지만 발표하는 데는 시간이 걸린다. 사회자는 괜히 시간을 끈다. 


아카데미 수상자는 이미 결정되어 있다. 사건의 당사자는 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의사결정 자체는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두 남자 중에 어느 남자를 신랑감으로 선택할지는 심중에 있다. 그것을 외부에 공표하는 데는 많은 시간이 걸린다. 


인과율의 시간은 외부 관측자에 대한 정보전달 시간이며 의사결정 자체와 관계가 없다. 공과 배트가 충돌했다. 배트가 밀려 파울인가, 공이 밀려 홈런인가? 맞는 순간에 결정된다. 시청자가 알아채는 데는 시간이 걸린다. 관측자인 사람이 둔하면 시간이 더 걸린다. 


콩 심은데 콩 나고 팥 심은데 팥 나는 데는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도둑이 팥을 훔쳐 가면? 외부변수 때문에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반대로 말하면 시간이 뭐지? 바로 그것이 시간이다. 시간은 관측자에 정보를 전달하는 시간이다. 관측자 수 만큼 시간이 지체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516
1259 굴원의 죽음 김동렬 2020-12-16 3171
1258 인공지능 회의론 1 김동렬 2020-01-27 3170
1257 투로와 간합 김동렬 2022-01-24 3169
1256 토끼그림의 의미 image 2 김동렬 2020-04-29 3168
1255 러시아 다음은 중국 김동렬 2022-02-27 3166
1254 자유의지의 의미 김동렬 2021-10-25 3166
1253 양자역학과 구조론 김동렬 2021-09-27 3166
1252 왜 왜가 문제냐? 2 김동렬 2020-07-22 3164
1251 우주의 제 1 지식 김동렬 2021-09-05 3163
1250 진화론과 창조설의 사기 image 2 김동렬 2019-11-18 3163
1249 하나는 곧 전체다 1 김동렬 2019-08-29 3163
1248 한국인의 집단자살 김동렬 2022-10-09 3159
1247 X세대는 노무현주의다 김동렬 2020-10-25 3157
1246 인류원리 2 김동렬 2023-09-24 3156
1245 명령 김동렬 2023-07-11 3156
1244 모아이의 진실 김동렬 2021-09-08 3153
1243 1은 없다. 2 김동렬 2019-10-25 3152
1242 노무현과 문재인의 운명 김동렬 2023-04-18 3151
1241 자유와 의리 1 김동렬 2021-11-12 3151
1240 전략균형론 1 김동렬 2020-12-06 3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