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112 vote 1 2021.09.21 (17:02:44)

  

모든 지식의 어머니가 되는 근본 지식은 인과율이다. 인과율이 뭔지 제대로 설명하는 사람은 없다. 인과율은 일종의 경험칙이다. 여기에 관측자 문제가 있다. 원인과 결과 사이에 시간 차가 있다. 그 시간은 뭘까? 왜 시간이 걸리지? 시간이라는게 정체가 뭐지? 


누가 공간을 물으면 허공을 가리키면 된다. 시간을 질문하면? 시계나 달력을 보여주랴? 태양을 가리켜? 밤에는 어쩌지? 인류의 문명이 의외로 허술한 기반 위에 서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이런 기본적이고 중대한 문제를 대충 넘어가는 안습함을 보이고 있다. 


검색해도 나오는게 없다. 시간은 관측자 개입이다. 원인과 결과 사이에 시간차가 있는 이유는 그것을 관측자가 알아보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로또 당첨은 마지막 공의 배출과 동시에 확정되지만 발표하는 데는 시간이 걸린다. 사회자는 괜히 시간을 끈다. 


아카데미 수상자는 이미 결정되어 있다. 사건의 당사자는 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의사결정 자체는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두 남자 중에 어느 남자를 신랑감으로 선택할지는 심중에 있다. 그것을 외부에 공표하는 데는 많은 시간이 걸린다. 


인과율의 시간은 외부 관측자에 대한 정보전달 시간이며 의사결정 자체와 관계가 없다. 공과 배트가 충돌했다. 배트가 밀려 파울인가, 공이 밀려 홈런인가? 맞는 순간에 결정된다. 시청자가 알아채는 데는 시간이 걸린다. 관측자인 사람이 둔하면 시간이 더 걸린다. 


콩 심은데 콩 나고 팥 심은데 팥 나는 데는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도둑이 팥을 훔쳐 가면? 외부변수 때문에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반대로 말하면 시간이 뭐지? 바로 그것이 시간이다. 시간은 관측자에 정보를 전달하는 시간이다. 관측자 수 만큼 시간이 지체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392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207
5530 이상주의자가 되라 김동렬 2005-06-02 13081
5529 어떤 책을 읽어야 하는가? 김동렬 2005-06-03 15308
5528 와카슈와 대게대게 김동렬 2005-06-03 13859
5527 전여옥에서 황우석까지 김동렬 2005-06-05 12581
5526 깨닫는다는 것은? 김동렬 2005-06-06 13165
5525 서영석님의 위세론을 읽고 김동렬 2005-06-08 14670
5524 문희상은 왜 버티고 있나? 김동렬 2005-06-08 14095
5523 전여옥과 박근혜의 막상막하 김동렬 2005-06-09 14313
5522 정동영은 뭣하고 있나? 김동렬 2005-06-11 14036
5521 본프레레 감독에 대한 생각 김동렬 2005-06-12 14127
5520 전여옥의 질투 김동렬 2005-06-14 14030
5519 전복의 전략 1 김동렬 2005-06-15 13419
5518 전복의 전략 2 김동렬 2005-06-15 13048
5517 강준만 아직도 더 망가질 건수가 남았다 김동렬 2005-06-22 13719
5516 조선일보 불 내가 질렀다 김동렬 2005-06-23 13722
5515 위험인물 강준만 김동렬 2005-06-24 15811
5514 전여옥의 전성시대 김동렬 2005-06-29 14404
5513 전인권을 생각하며 김동렬 2005-06-29 15146
5512 노무현 한방으로 사태평정 김동렬 2005-07-04 13661
5511 민노당과의 연정 못할 거 없다 김동렬 2005-07-04 135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