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110 vote 1 2021.09.21 (17:02:44)

  

모든 지식의 어머니가 되는 근본 지식은 인과율이다. 인과율이 뭔지 제대로 설명하는 사람은 없다. 인과율은 일종의 경험칙이다. 여기에 관측자 문제가 있다. 원인과 결과 사이에 시간 차가 있다. 그 시간은 뭘까? 왜 시간이 걸리지? 시간이라는게 정체가 뭐지? 


누가 공간을 물으면 허공을 가리키면 된다. 시간을 질문하면? 시계나 달력을 보여주랴? 태양을 가리켜? 밤에는 어쩌지? 인류의 문명이 의외로 허술한 기반 위에 서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이런 기본적이고 중대한 문제를 대충 넘어가는 안습함을 보이고 있다. 


검색해도 나오는게 없다. 시간은 관측자 개입이다. 원인과 결과 사이에 시간차가 있는 이유는 그것을 관측자가 알아보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로또 당첨은 마지막 공의 배출과 동시에 확정되지만 발표하는 데는 시간이 걸린다. 사회자는 괜히 시간을 끈다. 


아카데미 수상자는 이미 결정되어 있다. 사건의 당사자는 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의사결정 자체는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두 남자 중에 어느 남자를 신랑감으로 선택할지는 심중에 있다. 그것을 외부에 공표하는 데는 많은 시간이 걸린다. 


인과율의 시간은 외부 관측자에 대한 정보전달 시간이며 의사결정 자체와 관계가 없다. 공과 배트가 충돌했다. 배트가 밀려 파울인가, 공이 밀려 홈런인가? 맞는 순간에 결정된다. 시청자가 알아채는 데는 시간이 걸린다. 관측자인 사람이 둔하면 시간이 더 걸린다. 


콩 심은데 콩 나고 팥 심은데 팥 나는 데는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도둑이 팥을 훔쳐 가면? 외부변수 때문에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반대로 말하면 시간이 뭐지? 바로 그것이 시간이다. 시간은 관측자에 정보를 전달하는 시간이다. 관측자 수 만큼 시간이 지체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281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097
1270 실패한 설문조사 관우 2002-12-17 14729
1269 유시민이 졌다. 2005-09-21 14730
1268 세계 대통령 노무현과 인간 이회창 아다리 2002-12-20 14731
1267 질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9-01-20 14732
1266 상승한다는 것의 의미 1 김동렬 2009-12-30 14732
1265 노무현은 룰라인가 클린턴인가? 김동렬 2003-06-05 14733
1264 진보의 법칙 2 김동렬 2010-01-08 14733
1263 스크린 쿼터 문제에 대하여 김동렬 2006-01-27 14735
1262 구조론의 교육적 의미 김동렬 2008-04-12 14739
1261 대권 후보들의 올해 '운'에 김동렬 2002-11-30 14740
1260 유시민, 기억상실증? 김동렬 2004-05-28 14740
1259 클래식에 대한 관점 김동렬 2008-11-07 14740
1258 Re.. 정몽준은 이미 항복했다고 봄 김동렬 2002-11-09 14741
1257 떨어져라 부시넘 김동렬 2004-10-29 14741
1256 정치를 하려면 줄을 잘 서야 합니다. image 김동렬 2003-07-22 14745
1255 Re..여론조사는 정확합니다. 김동렬 2002-10-18 14747
1254 여의도에서 만납시다 image 김동렬 2003-12-19 14754
1253 이 새끼들 잘 걸렸어 김동렬 2004-03-13 14754
1252 강준만은 도를 닦아야 한다 김동렬 2005-04-21 14757
1251 전작권 환수 문제는 김동렬 2006-08-17 147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