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133 vote 0 2021.09.13 (23:28:15)

    빛은 있고 어둠은 없다. 삶은 있고 죽음은 없다. 진보는 있고 보수는 없다. 절대성은 있고 상대성은 없다. 주어는 있고 동사는 없다. 체는 있고 용은 없다. 체언은 존재가 있고 용언은 존재가 없다. 있는 것은 스스로 존재하여 있고 없는 것은 다른 것에 딸리어 있다. 


    마이너스는 있고 플러스는 없다. 원인은 있고 결과는 없다. 머리는 있고 꼬리는 없다. 빛은 광자가 있고 어둠은 암자가 없다. 광자는 아인슈타인이 발견했고 암자는 아직 발견하지 못했다. 존재는 체와 용을 가진다. 있는 것은 체가 있고 없는 것은 체의 용이니 변화다.


    어둠은 빛의 변화를 설명하는 말이다. 죽음은 삶의 핸들을 놓친 상태를 설명하는 말이다. 죽음은 없는데 죽음 이후를 알려달라고 하면 안 된다. 그 사람은 핸들을 놓친 것이다. 죽음을 설명해주면 '아 그렇구나' 하고 납득하고 고개를 끄떡이고 받아들이는게 아니다. 


    핸들을 손에 꼭 쥐어줘야 해결된다. 그 사람은 체면을 잃었거나, 자존감을 잃었거나, 아내를 잃었거나, 자식을 잃었거나, 직장을 잃었거나, 친구를 잃었거나 무언가 핸들을 놓치고 겉돌고 있다. 죽음의 플러스를 질문하지만 사실은 삶의 마이너스를 질문하고 있다.


    죽음의 내용을 플러스 해달라고 말하지만 죽음은 없으므로 플러스 할 내용이 없다. '내세가 없다는건 알겠는데 죽은 다음은 어떻게 되나요?' 이러면 안 된다. 답은 언제라도 삶에 있다. 존재는 체와 용이며 찾아야 할 핸들은 체에 있고 용에 없다. 죽음은 두렵지 않다.


    핸들을 놓친 상태를 죽음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말을 돌려서 하고 있다. 두려운건 핸들을 놓쳐서 어쩌지 못하고 우물쭈물 하는 것이다. 체와 용을 겸하되 체가 먼저다. 강한 군대가 없으면 현란한 용병술은 쓸모가 없다. 체격 되고 체력이 받쳐줘야 기술이 붙어준다. 


    빛은 체고 어둠은 용이다. 삶은 체고 죽음은 용이다. 진보는 체고 보수는 용이다. 진보의 원칙으로 강군을 만들고 보수의 용병술로 승리한다. 절대성은 체고 상대성은 용이다. 마이너스는 체고 플러스는 용이다. 잃었다면 체를 잃은 것이며 얻었다면 용을 얻은 것이다.


    관념은 용이다. 사랑도 행복도 성공도 정의도 평등도 용이다. 친구를 잃고, 직장을 잃고, 건강을 잃으면 체를 잃은 것이다. 영토를 잃은 것과 같다. 체를 얻을 수도 있지만 그것은 내가 결정하지 않는다. 나의 결정으로 잃는 것은 체요 나의 결정으로 얻는 것은 용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3504
1287 숙명여고 쌍둥이의 경우 1 김동렬 2020-07-19 3152
1286 사건의 구조론 1 김동렬 2019-11-11 3151
1285 구조와 대칭 김동렬 2021-04-15 3150
1284 구조론과 그 적들 4 김동렬 2020-09-06 3148
1283 구조론의 정의 1 김동렬 2019-11-04 3148
1282 지능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23-07-05 3147
1281 이기는게 인간의 목적이다 김동렬 2021-03-24 3145
1280 성선택설은 가짜다 2 김동렬 2020-03-20 3145
1279 에너지는 대칭과 호응이다 1 김동렬 2019-06-10 3145
1278 결정자와 전달자 김동렬 2023-06-01 3144
1277 문명과 야만 사이 1 김동렬 2022-02-04 3144
1276 대중의 선택적인 분노 image 김동렬 2021-03-24 3143
1275 진화론과 창조설의 사기 image 2 김동렬 2019-11-18 3143
1274 인간은 의리다 김동렬 2021-02-01 3142
1273 굴원의 죽음 김동렬 2020-12-16 3142
1272 다윈이 틀렸다. 3 김동렬 2020-11-22 3141
1271 행복이냐 치열이냐 김동렬 2020-09-09 3140
1270 먹히지 않는 거짓말 윤석열 2 김동렬 2022-09-27 3139
1269 신과 나누는 이야기 김동렬 2022-03-15 3139
1268 실체냐 관계냐? 1 김동렬 2019-05-07 3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