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부바키키 효과 발견은 언어 시작에 대한 연구를 과학의 영역으로 확보하는 사건이다.

 

언어란 뇌가 하는 촬영과 영사란 것이다. 정확한 촬영이 모든 고대 언어의 시작이고, 편리한 영사가 현대 언어의 어문 규정인 것이다.

 

국어와 외국어 교육의 기본은 "그냥"이다. 그냥 듣고, 말한다. 그냥 읽고, 쓴다. 될 때까지 한다. 안되면 낙오. 논리의 날이 선 학생은 그냥을 거부한다. 버려진 아이들은 불량해진다. 삐뚤어진다. 배움 자체를 버린다. 주변환경이 좋은 경우 수학으로 기운다. 과학으로 몰린다. 이과에 갇히고 만다.

 

"그냥"에 대한 거부는 배움의 기본이다. 그러나 준비되지 않은 학교와 학부모는 "그냥에 대한 거부"를 감당하지 못한다. 이는 준비되지 않은 권력이 "그냥에 대한 거부"를 감당하지 못하고 있는 까닭이기도 하다. 엉기어서 자기 자신조차도 어쩌지 못하는 무리를 떠나야 한다.

 

논리의 날을 날카롭게 세워야 한다. 논리의 날이 충분히 서면, 어학도 수학도 한 줄에 꿸 수 있다.

 

구조가 있다. 누군가 발견해 주기를 오랫동안 기다린 구조가 있다.

 

논리의 시작을 만나기를 권한다. 구조가 있다.

그때, 거기서, 그렇게 시작한 하나가 있다.

지금, 여기까지, 이렇게 밀고, 나누고, 주는 구조가 있다.

그 하나를 보라. 만나라. 가져라. 익혀라. 주라.

 

모든 물음들을 꿰뚫을 것이다. 전에 없던 세상을 열 것이다.

 

구조하기를 권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0.12.21 (20:28:06)

 

부바키키는 대단한 금맥이오.

이제부터 우리가 채굴장비를 만들어야 캘 수 있는 금맥이라는 도전이 문제로 되지만

이 길이 확실한 길이라는 확신이 있다면 주저할 일이 무엇이겠소?

몇 년이 걸릴지 모르지만 확신을 가지고 함께 가보기요.

 

우리가 어느 정도 기반을 갖추고

기초적인 메뉴얼을 갖추고 변방에서 작게나마 성공사례를 만든다음

투자를 유치하고 언론에 띄우면 되는 것이오.

 

그 다음부터는 일사천리.

하나가 성공하면 다른 것도 줄줄이 다 잘 될 것이오.

 

[레벨:15]오세

2010.12.22 (00:16:39)

신기한 한글나라 대신 신기한 영어나라 같은 거 하나 만들어서 대박나면 되겠구료. ㅋㅋ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9699
1380 존엄과 욕망 사이 4 양을 쫓는 모험 2011-03-09 4240
1379 구조론적으로 사고하는 사람 2 김동렬 2014-01-22 4237
1378 전기산업의 독특한 특성 2 mowl 2022-08-22 4236
1377 구조론 데이터를 통한 ChatGPT 테스트 1 오리 2023-03-11 4235
1376 플러스 전략의 실패 image 김동렬 2015-05-23 4232
1375 인간과 인공지능의 구분 12 챠우 2017-01-12 4231
1374 비트코인 단상 6 오리 2022-07-12 4229
1373 보물찾기: 나란 무엇인가? 3 오세 2013-10-22 4225
1372 디자인과 몽구스 image 2 김동렬 2014-04-04 4222
1371 한국이 창의를 못하는 이유 image 6 김동렬 2016-10-25 4219
1370 참과 거짓 image 김동렬 2013-06-19 4202
1369 김기춘이 봐야할 만화 image 5 김동렬 2016-12-08 4201
1368 쉬운 구조론 문제 image 16 김동렬 2012-12-24 4200
» 권구조담- 부바키키 효과 발견, 어학 수학 한 줄에 꿰기. 2 ░담 2010-12-21 4194
1366 [ 5월 13일 옥천 행사] 만남 image 2 수원나그네 2017-05-06 4194
1365 2500년, 미분의 역사 chow 2022-08-15 4192
1364 구조론과 인공지능 image 39 오리 2021-07-19 4189
1363 푸틴의 승리 1 김동렬 2015-10-05 4189
1362 노키아 몰락 이후 image 2 김동렬 2017-03-17 4184
1361 구조론과 정신분석 (논문에서 발췌) 오세 2010-11-12 4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