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891 vote 0 2021.09.04 (21:08:47)

    소크라테스는 빼기의 달인이었다고 한다. 산파법으로 알려진 그의 논박술은 부당하고 부차적인 것을 빼는 부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고 한다. 서점가에 그런 내용의 책이 나와 있는 모양이다. 구조론은 한마디로 빼기다. 살을 빼면 뼈가 남는다. 바로 그것이 구조다.


    아닌 것을 제거하면 최후에 남는 것이 정답이다. 욕망은 플러스다. 요즘 젊은이들은 전자오락에 빠져 있는 모양이다. 전자오락욕이라는 욕망이 있을까? 출세욕, 명예욕, 식욕, 성욕이라는게 정말 있을까? 식욕과 성욕은 물론 증명할 수 있다. 그런데 상당 부분 거짓이다.


    욕망은 플러스다. 마이너스가 답이다. 갑자기 식욕을 주체할 수 없다면 남자친구가 없는 거다. 갑자기 성욕이 넘친다면 무언가 불안한 거다. 물론 개인 간의 호르몬 차이일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 무언가 결핍이 있고 그에 따른 분노를 식욕과 성욕으로 달래고 있다.


    자녀가 없거나 친구가 없거나 역할이 없거나 무언가 없다. 구조론으로 보면 환경과의 상호작용이 감소해 있다. 우주 안의 모든 사건의 원인은 하나다. 맞물려 돌아가는 톱니가 빠져서 간격이 멀어졌다. 영역이 없거나 가족이 없거나 무언가 없어서 겉돌고 있는 것이다.


    환경과의 관계에서 무언가 깨져 있다. 욕망은 결핍의 보상이다. 소년이 전자오락을 욕망하는게 아니라 환경과의 긴밀한 관계를 상실했다. 이런 점은 관념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사랑이다, 자유다, 정의다, 평등이다, 행복이다, 공정이다, 페미니즘이다 하고 끝이 없다


    자꾸만 무언가를 추가하지만 우리가 무언가를 잃어버린게 아닌지 돌아봐야 한다. 위에서 잃은 것을 아래에서 찾으려 하는 실패다. 개인의 위는 집단이다. 집단에서 무언가를 잃었을 때 개인에게서 무언가를 추가하려고 한다. 한국은 갈수록 집단과의 관계가 깨진다.


    핵가족화에 출산거부다. 무언가를 잃고 있기 때문에 대신 무언가를 먹고 있는 것이다. 플러스는 끝이 없다. 계속 뭔가 주문된다. 마이너스가 진실하다. 본질은 환경이 변화한 것이다. 환경과 맞물리는 톱니가 빠져서 겉돌게 된다. 그때의 불안감이 욕망으로 나타난다.


    야망, 탐욕, 의지, 신념 따위는 개소리다. 뭔가를 플러스해서 되는 일은 없다. 무언가 깨져 있고 겉돌고 있다. 톱니가 빠져 있고 나사가 빠져 있다. 답은 마이너스에 있다. 어차피 조금은 빠져나간다. 거기 조절장치가 있다. 우리는 덜 빠져나가게 조절할 수 있을 뿐이다.


    더하더라도 빼고 난 다음에 더해야 한다. 먼저 살을 빼고 근육을 더해야 한다, 먼저 근육을 만들고 다음에 살을 빼자는 식은 안 된다. 창고에 물건을 쌓아도 그렇다. 먼저 뺄 것을 빼고 그다음에 적재해야 한다. 실제로 일을 해보면 이 문제는 의외로 심각하게 다가온다.


    이것이 우주의 근본모순임을 알아야 한다. 우주 안의 모든 질서는 이 하나의 모순에 의해 일어난다. 소크라테스의 빼기는 여러 가지 지식 중의 하나가 아니고 모든 지식의 기초가 되는 근본지식이다. 모두 여기서 가지를 쳐 나가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2621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1848
5526 이상주의자가 되라 김동렬 2005-06-02 13054
5525 어떤 책을 읽어야 하는가? 김동렬 2005-06-03 15269
5524 와카슈와 대게대게 김동렬 2005-06-03 13833
5523 전여옥에서 황우석까지 김동렬 2005-06-05 12552
5522 깨닫는다는 것은? 김동렬 2005-06-06 13148
5521 서영석님의 위세론을 읽고 김동렬 2005-06-08 14634
5520 문희상은 왜 버티고 있나? 김동렬 2005-06-08 14070
5519 전여옥과 박근혜의 막상막하 김동렬 2005-06-09 14290
5518 정동영은 뭣하고 있나? 김동렬 2005-06-11 14030
5517 본프레레 감독에 대한 생각 김동렬 2005-06-12 14097
5516 전여옥의 질투 김동렬 2005-06-14 14015
5515 전복의 전략 1 김동렬 2005-06-15 13404
5514 전복의 전략 2 김동렬 2005-06-15 13029
5513 강준만 아직도 더 망가질 건수가 남았다 김동렬 2005-06-22 13703
5512 조선일보 불 내가 질렀다 김동렬 2005-06-23 13704
5511 위험인물 강준만 김동렬 2005-06-24 15802
5510 전여옥의 전성시대 김동렬 2005-06-29 14391
5509 전인권을 생각하며 김동렬 2005-06-29 15132
5508 노무현 한방으로 사태평정 김동렬 2005-07-04 13641
5507 민노당과의 연정 못할 거 없다 김동렬 2005-07-04 13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