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현병철의 국가인권위는 상을 줄 자격이 없다.

김은총 (영복여자고등학교 3학년)

2010 인권에세이 공모전 고등부 대상 수상자


상을 받는다는 건 참 기쁜 일이다. 내가 열심히 쓴 글이 좋게 평가 받아서 대상까지 받게 되었다면, 그건 참 과분할 정도의 일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나는 이 상을 거부하기로 했다. 이유는 간단하다. 현재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 자리에 앉아있는 현병철 위원장이 주는 상은 별로 받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몇 달 전,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청소년인권’을 주제로 인권에세이 공모전을 하는 것을 보고 <‘언론’은 있지만, ‘여론’은 없는 학교>라는 제목으로 공모했다. ‘여론’이 없는 학교의 현실이 이제는 바뀌어야 한다는 내용이었다. 하지만 얼마 전부터 신문을 통해 인터넷을 통해 국가인권위에서 들려오는 소식들을 접하고 마음이 심란해졌다. 국가인권위원회의 인권위원들이 사퇴를 하는 상황에까지 이르렀고 전문위원들도 사퇴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위원들과 그 밖에 많은 사람들은, 국가인권위원장으로서 자격이 없는 현병철 위원장의 사퇴를 요구했다. 그러던 와중에 얼마 전 이 인권에세이 공모전에서 내가 쓴 글이 대상을 받는다는 소식을 받았고, 오랜 고민 끝에 나는 결국 이 상을 거부하기로 마음을 굳혔다.


비록 나는 고등학생이긴 하지만, 인권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공부해왔다고 스스로 평가한다. 수능 공부보다도 인권 공부에 더 열을 올렸고, 인권활동에도 참여해왔다. 어쩌면 현병철 인권위원장보다도 더. 발칙하고 건방지게 들릴지도 모르겠지만, 현병철 위원장은 고등학생인 나도 느낄 만한 인권감수성도 가지지 못한 것처럼 보인다. 여러 위원들이 현병철 위원장의 사퇴를 촉구하는데도, 그 목소리에 한 번도 귀 기울이지 않는 모습을 보면서, 인권을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고, 인권에 대한 제대로 된 개념이 박힌 사람이라면 할 수 없을 말들을 서슴없이 하는 것을 보면서, 꽉 막힌 학교, 꽉 막힌 이 사회와 별반 다른 게 없다고 생각했다. 이런 사람이 과연 나에게, 그리고 다른 나머지 수상자들에게 상을 줄 자격이나 있을까.


인권에 세이로 선정된 작품들을 살펴보면 많은 내용들이 ‘언론, 표현의 자유’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인권위가 직접 선정한 작품들에서 이야기하는 인권의 ‘반도 못 따라가고 있는’ 인권위의 모습을 제대로 돌아보아야 한다. 인권위원장으로서 자격이 없는 현병철 위원장은 지금과 같은 상황을 만들어온 것에 대해 책임지고, 부끄러움을 느껴야 할 것이다.


내가 에세이를 통해 말하고자 했던 ‘인권’을 지금 현병철이라는 사람이 국가인권위원회에서 끝도 없이 밑바닥으로 추락시키고 있다. 인권을 보장하고자 안간힘을 쓰고 애를 써야 할 국가인권위가 오히려 인권을 모욕하고 있는 것만 같다. 정말로 지금 상황에 심각성을 느끼고 조금이라도 성찰할 의지가 생긴다면, 감히 인권에세이 수상자인 청소년들에게 “참 잘했어요. 그러니 우리가 상 줄게요” 같은 말을 함부로 내뱉을 수 없을 것이다.


어쨌거 나 나는 현재의 국가인권위원회를 제대로 된 국가인권위원회로 인정할 수 없으며, 현병철 위원장이 위원장으로 앉아있는 인권위에서 주는 상은 받고 싶지 않다. 현병철 위원장은 나에게 상을 줄 자격조차 없다. 나는 2010인권에세이 대상 수상을 거부한다. 12월 10일 수상식 당일에 이런 뜻을 밝힐 수 있었다면 더 좋았겠지만 친구와 같이 태국 여행을 가기로 한 날짜와 겹쳐서 수상식에 참가를 하지 못한다. 그래서 이렇게 수상을 거부한다는 것을 미리 밝힌다. 내 목소리가 보태어져, 내가 한국으로 돌아올 12월 13일 즈음에는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이 더 이상 현병철이라는 분이 아니라는 소식을 들을 수 있다면 좋겠다.

현병철의 국가인권위는 상을 줄 자격이 없다. 김은총 (영복여자고등학교 3학년)


개념인들이 점점 늘고 있는건 논술의 위력인가 블로깅의 파워인가?


프로필 이미지 [레벨:4]삐따기

2010.12.20 (02:19:42)

개념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블로깅파워에 한표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양을 쫓는 모험

2010.12.20 (02:42:17)

인터넷이 시작 된 이후, 인터넷을 통하여 뭔가 말할 수 있는 통로가 생기자, 그 후 글쓰기 실력이 일취월장 한 게요. 대한민국 국민을 글쓰기 바보로 만든것은 바로 초등학교 '일기쓰기 숙제'가 원흉이오. 초등학생은 쓴 일기를 어른들이 본다는 사실을, 또 그것으로 괜한 잔소리만 듣게 될 것을 알기 때문에, "나는 오늘..." 로 시작하는 감정도 없고, 재미도 없으면서도, 적당히 숙제는 할 수 있는 글을 써버릇한 결과요.

말을 해서 손해보는 세상이면, 말은 안하는 거고, 말을 하는 사람이 이익을 보는 구조로 되어있으면, 전반적으로 논리력부터 문장력까지 성장하게 되는 거요. 지난 참여정부 당시에 노대통령이 했던 가장 큰 일중에 하나가 바로 국민의 입을 열게 했다는 그것. 늘 형식이 내용에 우선하오. 지난 민주정부 10년의 결과가 당당하게 말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오.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양을 쫓는 모험

2010.12.20 (02:55:31)

구조론의 모듈을 적용한 글쓰기를 연구중이오. 사실 > 문제제기 > 판단기준 > 관련사례 > 문제해결
이것대로라면 모든 장르의 글에 적용이 가능하오. 위의 학생도 글 좀 쓸 줄 아는데, 알고보면 첫문단은 사실, 둘째 문단은 문제의 과정, 세번째 문단은 자신의 경험으로 본 판단, 네번째- 다섯번째 문단은 인권에세이의 일반적인 사례를 통하여 자신의 판단을 부연하고 있고, 맨 마지막 문단에서 결론을 지었소.

상을 받았다는 에세이(나는 보지 못해서 내용을 모르지만)의 제목, <언론은 있지만, 여론은 없는 학교> 도 그렇소. 좋은 제목은 두 개의 핵심 키워드를 대칭의 구조로 놓는 것이오. 언론과 여론을 대칭으로 두고, 문장이 아닌 단어로 제목을 지었소. 요런게 센스! 조중동의 라면논리와 '~~~ 해야 한다!' 식의 후진 제목과는 차원이 다르오.

이런... 뺏기기 전에, 빨리 책을 써야겠구먼...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4232 김성회-강기정 난투극의 진실 2 양을 쫓는 모험 2010-12-10 3859
4231 일기는 글쓰기 바보를 만든다 2 양을 쫓는 모험 2010-12-11 3036
4230 출석부에서 게시판으로 지여 2010-12-11 2825
4229 박정희 A형이라는디 9 김동렬 2010-12-12 5435
4228 홈플러스의 5천원짜리 생크림케익3호 image 7 심연 2010-12-12 6249
4227 양모 강추 영화 리스트 5 양을 쫓는 모험 2010-12-15 3247
4226 진부한 표현들 2 김동렬 2010-12-16 3537
4225 장하준이 누구요? 8 양을 쫓는 모험 2010-12-16 2901
4224 양상추를 토끼에게 먹이면 안 좋다네요. 3 노매드 2010-12-16 5031
4223 대안 사회 2 개혁과진보 2010-12-17 2154
4222 대한민국 넘버원 온니원 1 지여 2010-12-17 3293
4221 한반도는 지금 전쟁 준비 중 2 스타더스트 2010-12-18 2832
4220 무릎팍도사 - 이장희 편 image 1 양을 쫓는 모험 2010-12-19 4111
4219 김기덕과 장훈 1 아란도 2010-12-20 4201
» 인권을 위해 인권위를 거부하다 3 lpet 2010-12-20 2326
4217 구조론 공간이 더 아름다워졌군요 7 bttb 2010-12-20 2231
4216 지금 상황이 좀 애매하군요. 3 양을 쫓는 모험 2010-12-20 2293
4215 하루 아침에 영어 술술~ image 2 로드샤인 2010-12-20 3204
4214 아우디 a1과 현대의 벨로스터 image 5 아란도 2010-12-21 4222
4213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커피마시기 4 곱슬이 2010-12-21 34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