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919 vote 1 2021.08.12 (11:57:40)

    뇌과학과 인공지능


220365815_23848254421050131_507360604295376239_n.jpg



    인공지능이든 자율주행이든 뭔가 근본적으로 번지수를 잘못 짚고 있다는게 구조론의 입장이다. 최신 뇌과학의 입장이 반영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필자가 이 책을 읽어본 것은 아니고. 구조론이 이 책의 영향을 받았다거니 표절이라느니 하는 인간들이 꼭 있기 때문에. 


    요즘 눈이 안 좋아서 책을 못 읽음. 쓰기도 바쁜데 읽을 시간이 어딨어? 각설하고. 뇌는 생각하기 위해 있는게 아니다? 그렇다면? 예산절감을 위해 존재한다. 의사결정비용이 만유의 근본이라는 구조론의 입장과 통한다. 뇌가 하는 일은 예측이고 예측은 비용을 절감한다. 


    물을 마시고 20분이 지나야 온몸에 수분이 퍼져서 갈증이 해소된다. 뇌는 20분 후의 갈증해소를 예측하고 지금부터 움직여도 좋다고 신호를 보낸다. 멋지잖아. 구조론으로 보면 뇌는 여러 동작을 하나로 묶어 세트로 대응하게 한다. 이것이 필자가 말하는 생각 속의 도마다. 


    생선을 도마 위에 올리지 못하므로 칼로 자르지 못한다. 사람은 뭐든 지능의 문제라고 생각하는데 지능의 문제가 아니다. 인간의 큼지막한 머리통 필요 없고 작은 도마가 필요하다. 전축의 바늘과 레코드판의 홈 같은 것. 방아확과 절굿공이 같은 것. 둘이 만나는 접점이다.


    그 핵심이 없어서 생각을 못 하는 것이다. 머리가 나쁜 건 도마가 없기 때문이다. 칼은 좋다. 인공지능의 실패는 칼만 벼르고 도마가 없어서 허공에서 생선을 자르는 실패다. 칼이 좋으면 허공에서 생선을 자를 수도 있지만 그래도 도마가 받쳐줘야 요리사가 솜씨를 발휘한다. 


    생각을 못하는게 아니고 생각의 방해자를 제거하지 못하는 것이다. 도마는 비어 있다. 방해자가 제거되어 있다. 외부가 잘 차단되어 있다. 도마는 현재와 미래를 같은 장소에 늘어놓는다. 예측한다는 것이다. 현재와 미래를 연동시켜서 판단한다. 앞을 보고 뒤를 아는 것이다. 


    물체의 앞면을 보여주고 뒷면을 그리라고 한다. 앞의 돌출된 모습을 보고 뒤의 오목한 부분을 그릴 수 있으면 그 사람이 영재다. 중요한 것은 많은 사람이 그것을 그리지 못한다는 점이다. 그런데 왜 못 그릴까? 그냥 그리면 되잖아. 이쪽이 볼록하면 저쪽은 오목하잖아. 


    볼록하니까 반대로 뒤집어서 오목하게 그리라고. 그런데 왜 못 그려? 머릿속에 펼쳐지는 도화지가 없으므로 볼록과 오목을 같은 공간에 두지 못한다. 도화지는 방해자가 차단되어 있다. 하얀 종이다. 아무것도 없다. 그런 빈 여백이 없어서 그림을 그리지를 못하는 것이다.


    늑대의 추적에 쫓기는 사슴과 같다. 생각을 하려면 멈춰야 한다. 멈추면 죽는다. 빈 도화지가 있으면 뒤에 늑대를 그리고, 앞에 사슴을 그리고, 옆에 샛길을 그릴 수 있다. 도화지가 없다. 구조론은 마이너스다. 무언가 차단해야 한다. 외부를 틀어막아야 도마가 만들어진다. 


[레벨:4]고향은

2021.08.13 (14:20:15)

가짓수가 많으면 과부하다
지금 여기에서의 실천 가능한 재료만
도화지와 도마에 올린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828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002
2240 압권은 귀 잡아당기기 image 김동렬 2002-11-13 12971
2239 이회창이가 된다해도 아다리 2002-09-27 12973
2238 무슨 소립니까 하나로 전체를 매도해요? skynomad 2002-10-17 12975
2237 노무현은 무엇으로 사는가? 김동렬 2004-10-02 12976
2236 김정일, 찬스는 지금이다 김동렬 2004-07-07 12978
2235 대세론으로 가야한다 김동렬 2004-03-17 12980
2234 질은 만남이다. image 2 김동렬 2010-09-21 12980
2233 관측자의 개입 image 1 김동렬 2017-04-07 12981
2232 신이 있다면 그를 만나고 싶다 image 1 김동렬 2017-02-22 12984
2231 진화의 방향성은? image 김동렬 2017-06-22 12985
2230 구조론은 새로운 진보의 유전인자다 김동렬 2008-03-31 12988
2229 노사모는 선거중 김동렬 2004-09-28 12996
2228 합리적 의사결정은 가능한가? image 김동렬 2017-07-28 12996
2227 조광조가 그립다 김동렬 2004-05-11 13001
2226 전복의 전략 2 김동렬 2005-06-15 13007
2225 진보는 오버해야 산다 김동렬 2006-06-03 13007
2224 그림정리 image 김동렬 2017-08-29 13008
2223 박정희가 죽어야 영남이 산다! 김동렬 2004-04-17 13010
2222 글쓰기의 전략 김동렬 2007-03-17 13011
2221 펀생전 김동렬 2003-01-22 13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