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780 vote 0 2021.05.03 (21:13:30)

      

    우리는 인과를 시간으로 이해한다. 시간은 흐른다. 멀어진다. 떠나버린다. 알 수 없게 되는 것이다. 공간은 그곳에 있다. 어디 가지 않는다. 인과를 공간으로 이해해야 바르다. 공간은 안과 밖이 있다. 원인은 안에 있다. 가운데 있다. 코어에 있다. 그러므로 알 수 있다.


    원인이 원인이다. 원인은 원인 그 자체다. 외부의 어떤 원인 말고 원인 그 자체에서 답을 찾아야 한다. 원인은 메커니즘이다. 메커니즘은 에너지의 확산을 수렴으로 바꾸는 것이다. 닫힌계 안에서 에너지의 방향성이 확산에서 수렴으로 바뀌는게 사건의 진짜 원인이다.


    닫힌계를 찾고 에너지의 방향을 추적하면 코어가 발견된다. 원인은 그곳에 있다. 중국은 왜 그랬을까? 에너지가 수렴되었기 때문이지. 일본은 왜 그랬을까? 역시 에너지가 수렴되었기 때문이야. 메갈은 또 왜 그랬을까? 역시 에너지가 그리로 수렴되었기 때문이지.


    국힘당은 왜 그럴까? 에너지가 수렴되니까 그렇지. 모든 사건에 공통된 원인은 에너지의 수렴에 의한 격발이다. 활시위가 풀어져 있는 것은 에너지의 확산이다. 활시위가 팽팽하게 당겨지는 것은 에너지의 수렴이다. 에너지는 활에서 활시위를 거쳐 화살로 수렴된다.


    바람의 방향이 바뀌듯이 에너지의 방향이 바뀌는게 사건의 원인이다. 왜 방향이 바뀌는 것일까? 상부구조가 개입할 때 자석의 극이 바뀌듯이 에너지의 방향이 바뀐다. 남극과 북극의 위치가 바뀌기도 한다. 지각 속에서 철의 회전방향이 자기장의 방향을 결정한다.


    부인에게 살갑게 대화하다가도 친구가 집에 방문하면 갑자기 어깨에 힘이 들어가서 남편이 고압적으로 변한다. 친구 앞에서 마초 가부장의 체면을 세우려고 한다. 그럴 때 에너지의 방향이 바뀐다. 외력의 작용에 대항하려고 에너지를 가장 중심으로 결집한 것이다.

   

    난 당당한 가장이라구. 에헴! 이런 것을 연출하려는 것이다. 친구가 돌아가고 난 후에는 헤헤거리며 부인의 비위를 맞춰주지만 이미 늦었다. 부인도 외부인 앞에서는 당당하고 싶기 때문이다. 외세를 끌어들이면 역효과 난다. 역시 에너지의 방향이 바뀌기 때문이다. 


    자연상태는 에너지의 확산상태다. 외력이 작용하면 대항하려고 에너지의 방향을 수렴으로 바꾸고 내부에 코어를 형성한다. 그것이 모든 사건의 모든 원인이다. 총이 격발되듯이 사건은 일어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3899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3502
6048 에너지의 합기원리 김동렬 2021-05-05 2787
6047 잘 사는 방법 김동렬 2022-04-13 2788
6046 왜 노무현주의가 뜨는가? 김동렬 2020-10-24 2789
6045 간섭원리 김동렬 2023-10-17 2791
6044 인간의 비극 1 김동렬 2022-02-06 2792
6043 방향전환 1 김동렬 2020-03-26 2794
6042 지능이란 무엇인가? 1 김동렬 2022-07-09 2794
6041 신과 인간 1 김동렬 2019-12-30 2795
6040 출산정책의 실패 김동렬 2022-06-07 2795
6039 진보를 진보하라 1 김동렬 2020-01-06 2798
6038 생각을 하자 김동렬 2022-11-16 2798
6037 강형욱 양원보 통일교 내전? 4 김동렬 2024-05-27 2801
6036 배우 강수연에 대한 추억 2 김동렬 2022-05-08 2802
6035 윤영조와 한사도 김동렬 2024-01-22 2803
6034 동원력과 생산력 김동렬 2023-04-27 2804
6033 의리 권력 동원 사회 1 김동렬 2021-11-27 2806
6032 게임이론과 등가원리 김동렬 2023-05-09 2806
6031 우주는 너무 크다 김동렬 2021-12-02 2807
6030 구조론의 길 김동렬 2021-10-12 2808
6029 구조론사람의 길 2 김동렬 2020-02-03 2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