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761 vote 0 2021.05.03 (12:02:55)

    메커니즘이 원인이다


    도무지 바람이 움직이는 것인가? 깃발이 움직이는 것인가? 지켜보는 그대의 마음이 흔들리는 것인가? 메커니즘이 움직이는 것이다. 깃발과 바람과 지켜보는 사람까지 3자 사이의 관계가 흔들리는 것이다. 보이는 것을 보므로 홀린다. 그 이상을 보지 않으면 안 된다.


    바람이 부는 것이 아니라 부는 메커니즘이 바람이다. 물이 흐르는 것이 아니라 흐르는 메커니즘이 물이다. 사람이 사는 것이 아니라 사는 메커니즘이 사람이다. 생명이 호흡하는게 아니라 호흡하는 메커니즘이 생명이다. 메커니즘 중심으로 사유하지 않으면 안 된다.


    어떤 대상을 지목하면 안 된다. 관측자인 자신과 대칭시키면 안 된다. 보는 주체와 보여지는 객체가 서로 마주보면 안 된다. 그 경우 주어에 동사를 가두는 실패를 저지르게 된다. 정靜에 동動을 가두는 실패를 저지르게 된다. 바람이 부는 메커니즘은 바람보다 크다.


    흐르는 그것은 강물보다 크다. 사람이 사는 메커니즘은 사람보다 크다. 생명이 호흡하는 그것은 생명보다 크다. 동은 정보다 크다. 움직이는 것은 머물러 있는 것보다 크다. 움직이는 것에는 머물러 있는 것에 없는 순서와 방향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질서가 있다.


    움직이는 것이 전체라면 머물러 있는 것은 부분의 합이다. 전체는 부분의 합보다 크다. 전체에는 부분의 합에는 없는 액션이 포함되기 때문이다. 방향성과 효율성의 형태로 계 내부의 질서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관성력이라는 플러스알파가 숨어 있기 때문이다.


     전체는 효율적이고 부분의 합은 비효율적이다. 움직이는 것은 공간을 적게 쓰기 때문에 효율적이고, 머물러 있는 것은 공간을 넓게 쓰므로 비효율적이다. 움직이면 끊어지고, 끊어지지 않으려면 연결해야 하며, 연결하면 서로 접점을 공유하게 되는 만큼 효율적이다.


    머물러 있는 것은 지구와 일대일 관계를 맺고 있다. 정을 동으로 바꾸려면 지구와의 관계를 차단해야 한다. 거기에 비용이 든다. 움직이는 것은 지구와 관계를 끊고 무게중심과 관계를 맺는다. 코어와 관계를 맺는다. 코어 하나가 대칭된 둘을 상대하므로 효율적이다. 


    동이 정보다 크다. 동은 메커니즘이다. 자연은 메커니즘이다. 원인은 메커니즘이다. 효율을 얻으려면 공유해야 하고 공유하려면 붙잡아야 하고 붙잡으면 구속되고 구속되면 손실이며 손실은 점차 커진다는게 엔트로피다. 질서를 잃어먹는 것이다. 이에 방향성이 있다.


    작은 그릇에 큰 그릇을 담을 수 없다. 큰 것을 먼저 하고 작은 것을 나중 하라. 그것이 순리다. 마이너스의 원리다. 우주에는 오직 에너지의 확산방향을 수렴방향으로 바꾸는 방법으로 공간을 좁혀 그만큼 효율을 얻어내는 메커니즘의 원리 하나의 원인이 있을 뿐이다. 


    그것이 모든 문제의 모든 원인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960 존재론과 인식론 2 김동렬 2020-03-02 2797
959 신의 입장 4 김동렬 2020-02-08 2797
958 윤석열을 위한 변명 1 김동렬 2023-11-30 2796
957 인간훈련 1 김동렬 2023-03-06 2795
956 단을 완성하라 김동렬 2021-03-02 2795
955 LK99가 윤석열 잡는다 1 김동렬 2023-08-03 2793
954 메커니즘을 이해하라 8 김동렬 2020-09-03 2792
953 속씨식물의 구조혁명 2 김동렬 2019-11-12 2790
952 사건은 머리와 꼬리가 있다 2 김동렬 2021-05-26 2789
951 소크라테스의 빼기 김동렬 2021-09-04 2787
950 추신수와 이소연 김동렬 2023-04-07 2786
949 설의 어원 김동렬 2022-01-31 2784
948 모든 질문의 어머니 김동렬 2021-12-18 2783
947 세상은 구조다. 3 김동렬 2019-09-25 2783
946 일원론의 사유 1 김동렬 2020-07-18 2781
945 차원 개념의 그림풀이 image 1 김동렬 2020-04-05 2781
944 구조론 입문 image 김동렬 2020-10-26 2779
943 의리는 공존의 룰이다 3 김동렬 2020-02-14 2779
942 성탄절의 의미 김동렬 2023-12-24 2778
941 우주의 건축법 1 김동렬 2019-12-27 27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