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10]id: 최호석최호석
read 3907 vote 0 2010.12.01 (00:52:40)

60325_19_D0603-12.jpg 

 

칼은 쇠다. 쇠는 단단할수록 좋다. 칼은 손잡이와 날로 나뉜다. 손잡이는 칼잡이의 몸과 닿고, 날은 적의 몸을 찌른다. 묵직한 칼일수록 적에게 더 큰 충격을 준다. 칼의 놀림이 빠를수록 적을 더 매섭게 몰아 부칠 수 있다. 날이 더 예리할수록 칼은 적의 몸속 깊숙이 들어간다. 한반도가 쥔 칼에는 손잡이가 없다. 누구라도 움직이면 서로 피를 본다. 힘을 줄수록 더 깊이 박힌다. 그 모양이 슬프다.

 

칼이 노래한다. 칼의 노래는 슬픈가? 기쁜가? 승리한 칼은 기쁜 노래를, 패배한 칼은 슬픈 노래를 부를까? 칼이 운다. 그것은 칼이 부르는 노래인가? 내가 부르는 분노의 살기인가? 적과 나 사이의 긴장, 갈등, 살의인가? 칼은 노래하지 않는다. 칼이 울린다. 휴대폰에 진동이 울리듯, 그것은 적이 나타난 신호이다.

 

이순신 장군은 물었다. 적이 나를 ‘적’이라 하니 나는 적의 ‘적’인가? 적이 나의 ‘적’인가? 나를 베러 온 자가 날더러 적이라 한다. 베어야 한다. 그것은 배를 몰아와 조선을 도륙한 왜구만이 아니다. 왜구를 베고 나니 선종의 칼이 날아온다. 베어야 하나? 벨 수 없다. 왕의 두려움을 베어야 한다. 그 두려움이 장군이었다. 그래서 장군은 다시 바다로 갔다. 죽음으로 삶을 완성하러 갔다.

 

장군은 말했다. “살고자 하면 죽고, 죽고자 하면 산다.” 그것이 운명이다. 노무현 대통령도 말했다. “외세 뒤에 숨으면 죽고, 자주 국방 하면 산다.” 당당하고 떳떳해야 죽어도 살 수 있다. 살아서도 죽은 것만 못한 삶에 허덕인다면 다시 떠올려볼 일이다. 이 정권의 오늘 대한민국의 백성들의 삶은 어떠한가?

 

북의 연평도 폭격에 해병이 전사하고, 민간인이 죽었다. 미군 항공모함은 아직 서해에 떠 있다. 남북한을 두고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가 신경이 곤두섰다. 북한은 정권 세습에 위험한 도박을 건다. 남한은 전시 작전권도 없는 군미필 군통수권자와 지도자들의 허풍에 귀도 시끄럽고, 눈도 어지럽다. 누가 적인가? 모두가 적인가? 아니, 바로 당신이 적이다. 또 내가 적이다. “김복남 살인 사건의 전말”을 피하지 말고 똑바로 봐야 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832 관능의 법칙 보다는 눈내리는 마을 2014-03-22 1942
831 역삼동 정기 모임 image ahmoo 2014-07-17 1942
830 야구관련 자동차 광고 상무공단의아침 2016-07-15 1941
829 하나의 사건을 상반되게 분석한다. 2 하룬강아지2 2016-05-30 1941
828 3월 9일 월요일 구조론을 알면 돈이 보인다의 예를 들어보겠슴다 까뮈 2015-03-07 1940
827 양자역학 비트코인. 1 아제 2017-12-20 1939
826 이 와중에도 하던 일 계속하는... image 텡그리 2016-10-29 1939
825 이제는 버려야 할 과학적 아이디어 I 1 kilian 2016-09-12 1939
824 숙제를 드립니다~ 수원나그네 2016-06-03 1939
823 에너지. 제대로 이해한게 맞나요? 1 이희진 2015-03-05 1939
822 화천에서 멋진 1박2일을 보냈군요.. 1 수원나그네 2015-07-06 1938
821 구조론 목요 강론 image ahmoo 2015-03-26 1938
820 아날로그 에서 디지털로. 눈내리는 마을 2014-12-07 1938
819 나는 전사다 1 덴마크달마 2016-11-11 1937
818 월성1호기 안전문제 토론회 수원나그네 2015-03-05 1937
817 5월1일 역삼 모임 image 1 ahmoo 2014-05-01 1935
816 구조론 광주모임 탈춤 2014-06-27 1934
815 구조론 목요 열린방송 image 2 ahmoo 2017-03-30 1933
814 상담에 대해서 구조적으로 풀이해봤습니다. 암흑이 2016-10-26 1933
813 구조론 목요 강론회 image ahmoo 2015-07-09 19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