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5]다음
read 2315 vote 0 2021.03.01 (04:15:11)

어렸을 적 한창 철학적 생각을 하던 때였다.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어떤 기준이 있어야 하는가? 당시에 나는 생존이라는 기준을 세웠다. 내가 만약 죽는다면 외부에 의해 급사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내가 해야 할 일은 인류의 리스크를 줄여서 내가 급사할 확률을 줄이는 것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그런데 이는 황당한 것이다. 생존이 목적이라면 생존주의 서적부터 사는 것이 맞다. 그런데 그러기는 싫었다. 어쨌든 나는 당시에 이 논리가 매력적이라고 생각했다. 어차피 내가 당장 사는 것과 인류의 문제든 우주의 문제든 아무 관련이 없는 것이다. 그러나 생각의 꼬리에 꼬리를 물다보면 결국 관련이 있다는 결론이 나온다. 물론 그 결론은 형식적이다. 그렇지마는 생존을 매개로 세상과 소통했다면 의미있는 것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21.03.01 (10:26:06)

거북이는 평생 등껍질을 벗을 수 없고

물고기는 평생 물을 떠날  수 없고

인간은 주어진 팔자대로 살아야 하는 것입니다.

생존이 목적이 된다면 죽음을 두려워하기 때문입니다.

인류가 절대 벗어던질수 없는 거북이 등껍질은 진보입니다.

인간을 피곤하게도 하고 설레이기도 하는 것은 계절의 변화이고 환경의 변화입니다.

계절이 없는 곳으로 갈수도 없고 변화가 없는 곳으로 갈 수도 없습니다.

내가 가만 있어도 계속 게임을 걸어오는 데는 당해낼 장사가 없습니다.

게임을 이기거나 게임에 지고 투덜대거나 뿐입니다.

게임에 이기는 방법은 파도가 오는 것을 예측하고 파도를 타고 넘는 것입니다.

그게 진보라는 거지요.

입시든 취업이든 결혼이든 사업이든 게임입니다.

내가 게임을 걸지 않아도 상대가 지분대는 것을 피할 수 없습니다.

유일한 방법은 내가 게임을 설계하는 것입니다.

내가 게임의 주최측이 되어 워터 해저드와 벙커를 곳곳에 배치해 놓는 것입니다.

세상이 변화라면 내가 변화를 설계하고

세상이 게임이라면 내가 게임을 설계하고 

세상이 운명이라면 내가 운명을 설계하고

그것만이 당당하게 말할 수 있는 것. 나머지는 죄다 허당.

내가 성공했네 출세했네 마누라가 예쁘네 자식이 서울대 붙었네 해봤자

누가 물어봤냐고? 

인생은 죽거나 아니면 이기거나.

죽거나 아니면 게임을 갈아타거나.

죽거나 아니면 게임을 설계하거나.

생존이 기준이 된다면  이미 남의 게임에 선수로 뛰는 것입니다.

어차피 그건 내 게임이 아닙니다.

죽음을 두려워 하는 호르몬은 유전자가 준 것이지 내가 발명한게 아니거든요.

신이 나를 경기장에 몰아넣으면서 씌워준 굴레이자 핸디캡.

검투사처럼 관중을 위해 싸워야 한다면 그게 비극.

자유를 얻은 검투사들이 맨 먼저  했던 짓은 로마인을 잡아다가 검투경기를 시킨 것.

이 게임을 탈출하는 방법은 다른 게임을 만들어 사람들을 경기장에 가두고 튀는 것 뿐이라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845
1847 노무현과 심형래 8 양을 쫓는 모험 2011-01-09 4769
1846 확률을 높이는 퍼즐링 image 11 양을 쫓는 모험 2011-01-09 4498
1845 뜨거운 물이 찬물보다....? image 7 꼬치가리 2011-01-10 6638
1844 바깥뇌-사회적 상호작용 1 김동렬 2011-01-10 3979
1843 순간 계산 궁금하오 17 지여 2011-01-10 4285
1842 계산에서 진법으로.. 5 아제 2011-01-10 4042
1841 마이너스의 성질 3 아란도 2011-01-11 3836
1840 아래 댓글이 넘 길어..... image 20 지여 2011-01-13 4630
1839 힘이 논리다. 2 ░담 2011-01-14 3915
1838 뇌에 ‘유령 신경세포’ 많다 2 김동렬 2011-01-18 5016
1837 김대호소장의 글을 읽으면서 23 긴 호흡 2011-01-18 7931
1836 지구둘레길 6 지여 2011-01-24 6579
1835 조광래 축구의 명암 10 김동렬 2011-01-26 4837
1834 권구조담- 신, 별거 없다. 2 ░담 2011-01-26 3935
1833 양모의 예언 1 양을 쫓는 모험 2011-01-29 3612
1832 구조론 캠핑. 4 아제 2011-01-31 3238
1831 (사람을) 안다 는 것 3 지여 2011-01-31 3974
1830 일원론. 3 아제 2011-01-31 3619
1829 존엄에 대해 1 김동렬 2011-02-01 3827
1828 대충해도 구조론 image 김동렬 2011-02-10 40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