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국립보건원 스타니슬라스 데하네 박사팀은 읽지 못하는 사람 10명, 성인이 된 후에야 읽기를 배운 22명, 그리고 어릴 때 읽기를 배운 31명에게 문자와 그림을 보여주고 뇌 활동을 기능성 자기공명영상(f-MRI)으로 촬영했다.
연구진은 우선 뇌의 어느 부분이 읽기와 관련 있는지 확인했다. 소리와 문자를 연결시켜주는 것으로 알려진 영역이 활성화 됐는데 이 부분은 무엇인가를 읽는 동안에도 활성화 됐다.
즉, 글을 잘 읽는 사람은 다른 사람들보다 책을 읽을 때 이 부위가 더욱 활성화되었다. 그리고 문장을 귀로 들을 때도 활성화 됐다. 그러나 그림을 봤을 때에는 글을 잘 읽는 사람들의 뇌 영역이 글을 잘 못 읽는 사람보다 크게 활성화 되지 않았다.
연구진은 “뇌에서 시각적 단어를 형성하는 영역에서 읽기 능력과 얼굴 인식 능력이 서로 경쟁관계에 있다”며 “읽기능력이 음성언어와 시각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진화한 뇌 회로를 이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눈으로 글을 읽으면 시각적으로 정보를 처리하고, 소리로 내는 말과도 연관 지을 수 있게 진화했다는 것.
이 연구결과는 ‘사이언스(Science)’에 게재됐으며 영국 과학 주간잡지 뉴사이언티스트 등이 최근 보도했다.
[관련기사]
제가 사람 얼굴을 잘 기억못해서 황당한 일이 많았지요.
누군가 인사를 하면 무조건 같이 인사를 일단 하고,,,, 머릿속으로 뉘더라???? 끝내 생각이 안나는 경우가 대부분이오.
ㅎㅎㅎㅎ 이거 걱정안해도 되겠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