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390 vote 0 2021.02.24 (20:46:02)

    이수정의 삽질에는 이유가 있다


    정치의 본질은 국민의 집단학습이다. 민주주의 수준을 높여가는 것이 중요하다. 더 많은 국민이 집단의 의사결정에 참여하게 하는 것이다. 바보들은 착한 사람이 상을 받는 것이 정치라고 착각한다. 내가 인생을 열심히 살았으므로 금뺏지로 보상을 받아야 해.


    그런데 그건 과거를 바라보는 시선이다. 정치는 미래를 바라보는 것이다. 과거에 잘 살았든 잘못 살았든 중요하지 않다. 팀플레이가 되는 것이 중요하다. 패거리와 놀면 안 된다. 무엇보다 국민과 팀플레이가 되어야 한다. 수신 제가 치국 평천하가 아니란 말이다.


    게임을 하나씩 깨되 수신을 클리어 했고, 제가도 클리어 했고, 이제 치국만 클리어 하면 되네. 평천하는 꿈도 못 꾸지. 트럼프나 바이든 정도가 되어야 평천하를 하는 것이고. 그렇다면 어차피 70억 인류 중에 단 한 명만 할 수 있다는 평천하를 왜 여기 끼워놨어?


    평천하가 먼저다. 천하와의 의리를 닦은 사람이 치국의 미션을 받는 것이며 미션을 달성하려면 동료와 친해야 하고 그러려면 개인이 버텨줘야 한다. 천하와의 의리를 닦은 자만 무대에 오를 자격이 있다. 미션을 받은 사람만이 정치를 할 자격을 부여받는 것이다.


    정치를 잘하려면 동료와 어울려야 한다. 가족과도 친해야 한다. 그러므로 개인의 도덕을 닦아야 한다. 금태섭, 이수정 부류 배신자는 천하와의 의리를 닦지 못했다. 그러므로 국가 단위의 미션은 주어지지 않는다. 가족과 잘 지내는지는 누가 물어보지도 않는다.


    개인의 도덕성은 논외다. 미션을 못 받았는데 무슨 도덕? 도덕성 자랑은 부잣집 도련님으로 귀염받고 자랐다는 자기과시에 지나지 않는다. 그거 안철수의 나르시시즘이다. 자기애다. 안철수가 뜨지 못하는 이유는 천하와 틀어져 미션을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천하가 가는 방향을 바라보지 않으므로 천하와 의리가 틀어져서 미션이 주어지지 않는다. 미션이 없는데 무슨 정치? 미션은 개인이 아니라 집단에 주어지기 때문이다. 집단의 의리가 중요하다. 집단은 민주주의에 있다. 민주주의는 한국인 모두의 집단학습이다.


    먼저 천하와 의리를 닦고 다음 미션을 받아서 대표자로 나설 때 동료와 팀플레이가 필요한 것이고 가족의 협조를 구하려면 개인의 도덕성이 받쳐줘야 한다. 천하가 먼저고 의리가 먼저다. 이수정 나경원 안철수의 삽질은 아스팔트에서의 집단체험 부재 때문이다.


    함께 어깨동무하고 종로 네거리를 내달리며 최루탄을 먹어본 자가 의리를 안다. 본능적으로 안다. 호르몬이 바뀌기 때문이다. 그들에게 없는 것이 우리에게 있다. 이심전심으로 역할을 나눌 수 있다. 미션은 그렇게 획득된다. 호르몬 영역이므로 배워서 안 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4411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4088
5229 쌍둥이 배구선수 마녀사냥 김동렬 2021-10-03 3581
5228 뇌는 단축키를 쓴다 2 김동렬 2019-06-23 3582
5227 의리 문재인 배신 김종인 2 김동렬 2021-02-01 3582
5226 안철수의 무식한 퀴어발언 3 김동렬 2021-02-19 3585
5225 준표와 중권의 삽질대전 1 김동렬 2020-05-17 3586
5224 의식의 구조 2 김동렬 2019-02-10 3587
5223 깨달음으로 가는 길 3 김동렬 2018-12-12 3591
5222 인간의 운명 1 김동렬 2020-06-21 3592
5221 모든 문제에 답은 있다. 1 김동렬 2019-10-26 3593
5220 몬티홀 딜레마 1 김동렬 2020-04-20 3593
5219 버스터 키튼의 제너럴 4 김동렬 2022-01-12 3595
5218 안시성과 구조론 1 김동렬 2018-10-12 3596
5217 인류원리 7 김동렬 2023-09-29 3596
5216 존재는 액션이다 김동렬 2023-07-03 3601
5215 진중권 패 이준석 승 3 김동렬 2021-05-29 3602
5214 윤석열 가면을 벗긴 조성은 1 김동렬 2021-09-11 3604
5213 이야기의 단초 김동렬 2021-07-08 3605
5212 쥴리 볼케이노 대폭발 김동렬 2021-12-01 3606
5211 이기는 힘의 이해 김동렬 2022-08-23 3606
5210 죽음과 삶 2 김동렬 2019-10-16 3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