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유튜브 영상에 언급한 이야기입니다.


    페이스북이든 트위터든 온라인에서 한마디 하려면 적어도 3천만 네티즌 중에서 말솜씨가 100등 안에는 들어야 한다. 왜? 쪽팔리잖아. 수준을 들키잖아. 손학규가 좌파수장 문재인 어쩌고 하며 한마디 했는가본데 그 말에 위트가 있나, 유머가 있나, 해학이 있나,


    골계가 있나, 기지가 있나, 재치가 있냐, 은유가 있냐, 라임이라도 맞냐. 도대체가 수준이하잖아. 네티즌이 재빨리 멋진 댓글을 달아 수준을 비교되게 만든다. 독자들은 댓글 보고 정치인이 네티즌보다 못하네 하고 평가를 때려버린다. 글을 쓸수록 바보 되는 거다.


    정치인은 알아야 한다. 네티즌은 당신의 말을 다른 정치인과 비교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네티즌 중에서 제일 말 잘하는 사람과 비교한다는 사실을. 당신은 백 대 빵으로 진다는 사실을. 날고 기는 똑똑한 네티즌이 많으니까. 최근에 정철승이라는 변호사가 떴더라.


    이 분은 문장력이 있다. 글을 찰지게 쓴다. 야무지게 쓴다. 조리가 있다. 박진감이 느껴진다. 서늘한 기운이 있다. 이런 분과 비교되는 것이다. 윤서인이 욕을 먹어도 가끔 웃기는데 손학규든 안철수든 홍준표든 초딩 말싸움 수준에서 놀고 있다. 오세훈 가세한다.


    나경원의 뻔대에 이언주의 행패까지. 정치인이 온라인에서 한마디 하면 처음에는 독자들이 그 말의 내용을 본다. 그런데 거기에 한마디를 더 보태면? 이번에는 수준을 본다. 왜? 제한된 레파토리가 지겹기 때문이다. 저 인간은 맨날 저런 소리밖에 못하는군.


    이렇게 된다. 한 마디 하면 주목을 끌지만 두 마디 하면 수준을 들킨다. 문재인 인사가 좋은 평가를 못 받고 있지만 안철수, 손학규, 홍준표, 이언주, 나경원, 오세훈 도토리 키재기 줄바보들 피아노 치고 있노라면 대한민국에 원래 인재가 없었구나 하고 납득한다.


    정치판에 이렇게 인재가 없는데 학계, 관계, 법조계에 인재가 있을 리가 없지. 그렇다면 답은 하나다. 깨어있는 시민이 정치권 멱살을 잡고 끌고 가는 수밖에. 필자가 처음 PC통신을 할 때는 천하가 넓은 줄로 알았다. 밤하늘의 별처럼 인재들이 깔렸을 줄 알았다.


    이 인간 저 인간을 찾아가서 한 번씩 건드려봤다. 찔러봤다. 반응이 돌아온다. 실망했다. 끝내 사람 하나를 찾지 못했다. 찔러보니 당나귀요, 건드려보니 노새요, 말을 시켜보니 딱다구리요, 밟고 보니 꿈틀하는게 기생충이요, 그것들 중에 인간이라곤 흔적도 없다.


    혼자 놀게 된 연유다. 노무현 귀한 줄을 알았다. 노무현이 대단하니까 그런 대단한 인재가 곳곳에 숨어 있을 줄 알았지. 노무현이 논객시장을 홀로 일구어서 착시현상이 일어난 것이다. 노무현 가고 논객은 없어졌다. 제 입으로 말한게 아니라 노무현에 반응한 거다.


    노무현이 그들을 연주한 것이었다. 준만이 중권이 한용이 창선이를 연주하여 그들의 입에서 적당한 언어를 끌어낸 것이다. 연주자가 가고 악기는 버려졌다. 생각하면 사람은 시대가 만드는 것이다. 그때가 위대한 변혁의 시대였다는 사실을 나는 이제 알았다.


[레벨:3]hojai

2021.02.23 (08:37:10)

크게 공감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오맹달

2021.02.24 (08:48:18)

감사히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4506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4186
5229 뇌는 단축키를 쓴다 2 김동렬 2019-06-23 3582
5228 의리 문재인 배신 김종인 2 김동렬 2021-02-01 3582
5227 쌍둥이 배구선수 마녀사냥 김동렬 2021-10-03 3582
5226 안철수의 무식한 퀴어발언 3 김동렬 2021-02-19 3585
5225 준표와 중권의 삽질대전 1 김동렬 2020-05-17 3586
5224 의식의 구조 2 김동렬 2019-02-10 3588
5223 깨달음으로 가는 길 3 김동렬 2018-12-12 3592
5222 모든 문제에 답은 있다. 1 김동렬 2019-10-26 3593
5221 몬티홀 딜레마 1 김동렬 2020-04-20 3593
5220 인간의 운명 1 김동렬 2020-06-21 3594
5219 버스터 키튼의 제너럴 4 김동렬 2022-01-12 3595
5218 안시성과 구조론 1 김동렬 2018-10-12 3597
5217 인류원리 7 김동렬 2023-09-29 3601
5216 존재는 액션이다 김동렬 2023-07-03 3602
5215 진중권 패 이준석 승 3 김동렬 2021-05-29 3603
5214 윤석열 가면을 벗긴 조성은 1 김동렬 2021-09-11 3604
5213 이야기의 단초 김동렬 2021-07-08 3605
5212 쥴리 볼케이노 대폭발 김동렬 2021-12-01 3606
5211 이기는 힘의 이해 김동렬 2022-08-23 3606
5210 죽음과 삶 2 김동렬 2019-10-16 3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