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114 vote 0 2021.02.22 (19:28:03)

   

    관점이 운명을 바꾼다


    세상에는 작아지는 것도 있고 커지는 것도 있다. 출발역에서 떠나는 기차는 점점 작아지고 도착역에서 플랫폼에 들어오는 기차는 점점 커진다. 사람들은 커지는 것을 좋아한다. 다들 도착역으로 몰려간다. 그런데 거기가 종점이다. 기차는 거기에서 멈춘다. 할 일이 없다.


    그대를 게임에 끼워주지 않는다. 뭔가 해보려면 출발역으로 가야 한다. 기관사가 될 기회가 있다. 사람들이 커지는 것을 좋아하는 이유는 어린이의 마음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어린이는 몸이 커진다. 갈수록 실력이 늘어난다. 해마다 용돈이 늘어난다. 어른은 그 반대다.


    늙으면 몸이 작아진다. 기억력이 줄어든다. 자녀의 용돈을 늘리면 내 지갑이 얇아진다. 현실은 언제나 각박하다. 커지는 것도 있고 작아지는 것도 있지만 혼선을 피하려면 기준을 통일해야 한다. 관점의 차이 때문이므로 관측자의 위치를 고정시켜 관점을 통일해야 한다.


    통제가능성이 답이다. 커지는 것은 통제할 수 없다. 작아지는 것에 여유가 있고 개입할 빈틈이 있다. 질량보존의 법칙에 따라 사실은 커질 수도 없고 작아질 수도 없다. 만약 작아졌다면 나머지는 어디로 갔을까? 그것이 우리가 챙기는 이윤이며 그것이 사용한 에너지다.


    엔트로피 증가는 사용가능한 에너지의 감소다. 반대로 사용한 에너지의 증가다. 작아진 만큼 소비되었다. 엄마의 몸이 작아졌다면 그 만큼 아기의 입으로 들어간 것이다. 인류는 무언가를 작게 만든다. 지구는 계속 좁아진다. 인간들이 자연에 빌붙어 살아먹는 방법이다.


    셋이 있다면 둘은 작아지고 하나는 커진다. 엔트로피의 법칙에 따라 전체적으로 작아진다. 작아지는 것 두 개를 통제하여 커지는 것 하나를 취할 수 있다. 농부가 봄에 심으면 가을에 곡식이 커져 있다. 농부는 그것을 통제할 수 없다. 농부가 할 수 있는 일들이 별로 없다.


    반면 장사꾼은 오고가며 많은 비용을 지출한다. 그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익은 거기서 난다. 비용이 많을수록 비용절감의 가능성은 커진다. 많은 비용이 있는 곳에 많은 이익이 숨어 있다. 커지는 것은 내 의지로 조절되지 않으나 작아지는 것은 나의 의지로 조절된다.


    먹은 후에 살이 찌는 것은 내 의지로 조절되지 않으나 먹기 전에 냉장고가 비어가는 것은 내 의지로 상당히 조절할 수 있다. 커지는 것을 더 크게 만들기 어렵지만 작아지는 것을 덜 작게 만들 수는 있다. 커지면 꽉 끼어 여유가 없다. 움직일 수 없다. 조절할 수가 없다.


    몸이 커지면 바지를 버려야 하지만 몸이 작아지면 바지를 줄여 입으면 된다. 작아지는 것에서 무언가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하게 된다. 내가 비집고 들어갈 틈은 그곳에 있다. 몸이 작아졌으므로 옷이 헐렁해졌다. 그사이를 파고들어야 한다. 가능성을 발견하기다.


    통에 돌을 담아보자. 최대한 담으려면 큰 것을 먼저 답고 작은 것을 나중 담는다. 갈수록 담기가 쉬워진다. 거기에 가능성이 있다. 희망을 발견할 수 있다. 반대로 작은 것을 먼저 담으면 큰 것이 들어가지 않는다. 희망이 없다. 이건 간단한 이치이나 보편적인 법칙이다.


    희망은 그곳에 있다. 수순을 바꾸면 된다. 큰 것을 먼저 하고 작은 것을 나중 하라. 많은 비용이 드는 일에 투자하되 비용을 절감하라. 갈수록 헐렁해지는 일에 가담하여 들어갈 기회를 포착하라. 반대로 더 많아지는 쪽으로 방향을 잡으면 피곤해진다. 점점 벅차게 된다.


    점점 빡빡해진다. 끼어들 여지가 없다. 좌절하게 된다.


[레벨:4]고향은

2021.02.23 (07:01:52)

큰 구조인 시스템[둥지]에 대해서
주인의식을 가져야 한다
시스템[환경]이 적절하면, 그 환경 속의
작은 개인들은 착한 生의 루틴을 형성해 나간다

환경을 선택받은 사람 만이 훌륭한 삶의 루틴을
만들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큰 시스템이나 울타리를 창조하고 개척하는 것은
우리 작은 개인들의 책임이다
시스템에 반드시 관심이 필요하다
[레벨:30]솔숲길

2021.02.23 (13:11:18)

갈수록 헐렁해지는 이리에 가담하여 => 이리에?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21.02.23 (13:42:03)

고쳤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816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updateimage 7 김동렬 2024-06-12 954
1279 광화문 해태 image 김동렬 2003-06-15 14619
1278 전당대회 D - 3 김동렬 2006-02-15 14621
1277 정균환으로 변해버린 박상천 image 김동렬 2003-05-14 14622
1276 북한 바람을 일으킵시다 아다리 2002-09-28 14628
1275 ‘왜 사나?’ 라는 질문이 들 때 image 김동렬 2017-05-22 14631
1274 미국 대선 감상법 김동렬 2004-10-28 14636
1273 전투의 법칙과 전쟁의 법칙 김동렬 2011-01-21 14638
1272 과학을 보내고 미학을 맞는다 5 김동렬 2009-10-01 14641
1271 한나라당 애들 왜이러나? 김동렬 2005-12-13 14642
1270 공간의 인과율 image 2 김동렬 2010-11-15 14645
1269 소유냐 존재냐 2 김동렬 2011-10-21 14647
1268 李34.8 鄭24.3 盧20.2%…본보―여의도리서치 조사 김동렬 2002-10-29 14648
1267 탕자처럼 돌아온 조성민 2005-08-15 14648
1266 클래식에 대한 관점 김동렬 2008-11-07 14650
1265 우주는 디지털이다. image 4 김동렬 2017-06-03 14651
1264 구조론의 교육적 의미 김동렬 2008-04-12 14652
1263 차라리 극장에 뱀을 풀어라 김동렬 2006-02-15 14653
1262 박근혜의 애걸 김동렬 2004-10-26 14654
1261 노무현은 룰라인가 클린턴인가? 김동렬 2003-06-05 14655
1260 동렬님팬으로써의 대선결과 예측 Y 2002-12-19 146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