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 (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어떤 형태로든 영향을 주는  분들에게)

 

“경제학자와 정치철학자들의 사상은 그것이 옳을 때에나 틀릴 때에나 일반적으로 생각되고 있는 것보다 더 강력하다. 사실 세계를 지배하는 것은 이밖에 별로 없는 것이다. 자신은 어떤 지적인 영향으로부터도 완전히 해방되어 있다고 믿는 실무가들도, 이미 고인이 된 어떤 경제학자의 노예인 것이 보통이다. 허공에서 소리를 듣는다는 권좌에 앉아 있는 미치광이들도 그들의 미친 생각을 수년 전의 어떤 학구적인 잡문으로부터 빼내고 있는 것이다. 나는 기득권익의 위력은, 사상의 점진적인 침투에 비하면, 매우 과장되어 있다고 확신한다. 물론 사상의 침투는 당장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일정 기간을 두고 이루어진다. 왜냐면 경제 및 정치철학 분야에 있어서는 25세 내지 30세를 지나서는 새로운 이론에 의해 영향을 받는 사람은 많지 않으며, 따라서 공무원이나 정치가, 그리고 심지어 선동가들까지도 일상사태에 적용하는 관념에는 최신의 것은 별로 없는 것 같기 때문이다. 그러나 빠르든 늦든, 선에 대해서든 악에 대해서든, 위험한 것은 사상이지 기득권익이 아니다.” 

  케인즈의 "고용 이자 및 화폐에 관한 일반이론"  중  감동이 아직도 생생한 지금도 기억하고 나에게 영향을 주는 구절입니다. 

경제만 그런것일까요?  정치, 문화, 예술, 스포츠, 종교까지  마찬가지 아닐까요?

명박이 초등 중등 대학 주변 선생님이 4~50년전 어떤 책 읽히고 어떤 내용 가르쳤을까 ? 미루어 짐작되지요.  권한을 가진 높은 지위에 올랐을 때 그가 행하는 행위는 이미 수십년전 결정 된 것이지요. 25세 정도 지나면 사람 안 바뀝니다.  60세 70세 장차관들 국회의원들  어린이 학창시절 주입된 이론 이제야 실천하고 있는 것이지요. 그러니까 60년대 박정희식 새마을 운동같은 현상이 우리 주변 구석구석.. 요즘 자주 보이는 이유 이해가 됩니다.

지금 가르치는 내용과 교육성과는?   내년... 내후년.. 몇년후 입시성적...  이건 속된 말로 새발의 피이지요. (그러나 권력을 가진자들이   먹고사니즘 / 실직을 흔들어대니 선생님 본인에게 심각한 스트레스는 알고 있습니다)
 
선생님의 가르침은 그 아이들이 돈 지위 권력 명성 가졌을 때 그대로 고스란히 실천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ahmoo

2010.11.19 (11:55:01)

어렸을 때는 선 넘는 연습
포지션 찾는 연습...
뭐 이정도면 되지 않을까 하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2832 5일(금) 구조론 광주모임 안내 2 탈춤 2013-07-03 2314
2831 백수유구조, 이건희을 구워라! 1 담 |/_ 2013-07-03 2984
2830 질문) 동렬님 책 구입하고 싶은데요 3 락에이지 2013-07-04 2608
2829 심심이의 패기 image 오세 2013-07-05 3628
2828 시민 유시민 '2007 남북정상회 담 대화록' 해설 특강 9 아란도 2013-07-05 4096
2827 유재석과 강호동의 차이 3 까뮈 2013-07-05 3506
2826 비폭력대화의 관점에서 바라본 어느 버스 기사의 울화통 10 이상우 2013-07-06 3318
2825 "깨달음의 대화 - 상호작용의 세계관"을 읽고 질문입니다. 1 귤알갱이 2013-07-06 50119
2824 42 image 10 냥모 2013-07-07 3967
2823 손석희 시험대 바로 나왔나? 5 wisemo 2013-07-09 3501
2822 아시아나 기장 경험미숙 기사를 보고 2 약수동목장갑 2013-07-09 3521
2821 생각의 정석2를 듣고 (동성애) 1 삼백 2013-07-09 3268
2820 구조론 책 중 한 권 추천 바랍니다. 12 너도 2013-07-10 3300
2819 희망고문은 고문이 아니다 -스포주의- 1 15門 2013-07-11 4402
2818 구조론에 어울리는 사진작가 김 아타 image 1 삼백 2013-07-11 11159
2817 12일(금) 구조론 광주모임 안내 2 탈춤 2013-07-11 2332
2816 7월 11일 목요일 정기모임 image ahmoo 2013-07-11 2843
2815 구조론 팟케스트는 어떻게 다운받나요? 1 창준이 2013-07-11 2475
2814 이 노래를 들으면 장마 속으로 빠져들 뿐 2 까뮈 2013-07-12 2954
2813 '귀태'(鬼胎)라.. 표현이 너무 고급스럽잖아.. 3 약수동목장갑 2013-07-12 3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