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139418064_3800102220n.jpg


      
   

    이런 자들이 노무현을 죽였다. 


    사람은 억울해서 죽는 것이 아니고, 원통해서 죽는 것이 아니고, 창피해서 죽는 것도 아니고, 괴로워서 죽는 것이 아니다. 살기 힘들어서 죽는 것이 아니다. 꼭 죽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죽는 것이다. 옴쭉달싹 할 수 없는 상황을 누가 만들었는가다. 진중권들이다. 


    모든 사람이 심청을 쳐다보며 '너 하나만 죽으면 되는데.' 이러고 있으면 죽는다. 어쩔 수 없어서 죽는다. 자식이 부모를 찌르면 부모는 어떻게 하나? 같이 자식을 향해 칼을 휘두를 수도 없고. 적이 찌르면 맞서 싸우거나 아니면 도망쳐서 우군을 불러오면 된다. 


    자식이 부모를 찌르면 부모는 어떻게 해야 하나? 죽을 수밖에 없다. 노무현은 지식의 편에서 무식을 쳤다. 자유의 편에서 억압을 쳤다. 민주의 편에서 독재를 쳤다. 약자의 편에서 강자를 쳤다. 그런데 지식이 배반하면 어떻게 해야 하나? 적진에 투항해야 하나?


    죽을 수밖에 없는 올가미를 치고 함정을 파고 덫을 놓았다. 진중권 개가 그랬다. 유창선 개가 그랬다. 성한용 개가 그랬다. 오마이뉴스가 그랬다. 한겨레가 그랬다. 경향신문이 그랬다. 기레기가 그랬다. 왜 그랬을까? 자신이 부모이고 노무현이 자녀라고 믿었다.


    내 자식 내가 죽이는게 뭐 어때서? 노무현은 진보가 낳은 자식인데 자식이 말을 안 들어서. 노무현을 키운 것은 8할이 언론인데 언론 말을 안 듣네. 노무현을 발굴한 것은 엘리트인데 엘리트 말을 안 듣네. 노무현을 키운 국민들은 충격받았다. 복수에 나설밖에.


   샤를 7세가 잔 다르크를 죽도록 방치한 이유는? '잔 다르크 걔는 내가 발굴했지. 신의 계시를 누가 믿냐? 농부들 동원하려고 믿는 척하는 거지. 장단 좀 맞춰줬지.' 선조가 이순신을 죽음으로 내몬 이유는? '무명의 이순신을 누가 전라 좌수사로 진급시켰지? 나라고.'


    기레기들이 저러는 이유는 박근혜를 끌어내린게 자신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국민이 나서지 않으면 안 된다. 왜냐하면 그들의 무의식은 진짜 주인공인 국민을 싸움판에 끌어들이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싸움은 오래 간다. 국민이 무섭다는 사실을 깨달을 때까지.


[레벨:6]나나난나

2021.01.18 (17:19:06)

게시판에 올려야할 글이 잘못 올라간 것 같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금재.

2021.01.18 (17:33:31)

https://youtu.be/4vT0FAAJmPo?t=1259


뉴시스 김태규 기자.

Drop here!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1257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565
2606 아마추어의 주관과 프로의 객관 1 김동렬 2018-12-07 3375
2605 쉬운 그림풀이 image 1 김동렬 2018-12-07 3406
2604 구조론은 사건의 플랫폼이다. 4 김동렬 2018-12-09 3164
2603 형식이 내용에 앞선다 1 김동렬 2018-12-10 4069
2602 깨달음이라야 한다 2 김동렬 2018-12-10 3616
2601 깨달음으로 가는 길 3 김동렬 2018-12-12 3568
2600 깨달음은 에너지다 1 김동렬 2018-12-13 3808
2599 계통을 일으켜라 1 김동렬 2018-12-14 3694
2598 패배자의 즐거움 1 김동렬 2018-12-17 3609
2597 행복은 없다 image 5 김동렬 2018-12-18 3884
2596 구조론사람의 길 4 김동렬 2018-12-18 3733
2595 맞는 말 하는 사람을 조심하라. 1 김동렬 2018-12-20 4258
2594 순정 애정 열정 우정 욕정 1 김동렬 2018-12-20 4168
2593 바른말 하는 사람을 믿지 마라 3 김동렬 2018-12-23 4542
2592 구조동일성 2 김동렬 2018-12-23 3439
2591 관성력과 이중의 역설 2 김동렬 2018-12-25 3144
2590 인생의 철학 1 김동렬 2018-12-25 4189
2589 진리는 보편성이다 1 김동렬 2018-12-26 4576
2588 일본의 경우 1 김동렬 2018-12-27 3543
2587 유튜브 제 5 강 준비자료 김동렬 2018-12-27 30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