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056 vote 0 2021.01.04 (20:49:49)


    구조론은 세상을 구조로 설명한다.


    구조는 의사결정구조다.


    의사결정구조는 대칭구조다.


    대칭에는 대칭된 둘이 공유하는 접점이 되는 축이 있다.


    축이 이동하면서 대칭이 비대칭으로 바뀌는 것이 의사결정이다.


    하나의 사건은 원인에서 결과까지 진행하는 동안 다섯 번 대칭을 조직한다.


    닫힌계의 안과 밖, 코어의 중심과 주변, 균형의 좌우, 방향의 앞뒤, 변화의 위치와 관측자로 다섯 가지 대칭과 비대칭이 차례로 일어난다.


    짝수인 대칭이 홀수인 비대칭으로 바뀌면서 보다 사건의 범위를 좁혀서 새로운 짝수로 대칭을 만들며 자투리가 남아서 엔트로피가 증가된다.


    외부의 개입이 없는 닫힌계 안에서의 의사결정은 대칭을 조직하는 절차에 자원의 일부가 동원되므로 그만큼 의사결정구조에서 이탈하며 이를 무질서도로 표현한다.


    의사결정은 짝수를 홀수로 바꾸는 과정을 5회 반복하여 축을 이동시키며 나머지는 축에 맞물려 따라온다.


    내부적인 연결상태를 의미하는 닫힌계 내에서의 어떤 결정은 연결의 단절 형태로만 가능하다.


    사건이 진행하는 다섯 단계에 걸쳐 의사결정지점이 점차 국소화되고 부분화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사건의 추이를 판단하고 미래를 예견할 수 있다.


    상하 좌우 전후 고저 장단 흑백 명암 원근 강약 흥망 내외 대소 기타등등 무수한 대칭이 있다.


    대칭에는 반드시 코어와 균형이 있다.


    닫힌계 내부에 에너지의 모순이 발생하면 먼저 균형을 이루고 다음 코어를 이동시켜 균형을 깨뜨리며 새로운 균형을 찾아내는 형태로 사건은 진행된다.


    전체의 균형에서 의사결정을 일으키며 일부가 죽고 살아있는 나머지의 균형에서 다시 의사결정을 일으키며 일부가 죽는 형태로 사건은 일어나며 점차 국소화된다.


    연결이 끊어져 모순이 닫힌계 밖으로 배출되는 형태로 사건은 종결된다.


    부분에서 균형을 찾아가는 현상이 도리어 전체의 불균형을 유발하므로 사건은 알 수 없게 된다.


    두 선박이 가까운 거리에서 나란히 가면 좁은공간 효과로 두 선박 사이의 유속이 빨라지고 수압이 낮아져서 두 선박이 붙어버린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9494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5838
5741 시소에서 내려와 파워볼을 돌려라. image 1 김동렬 2012-01-03 14904
5740 구조론 마인드 맵 image 2 김동렬 2011-07-03 14904
5739 법원의 알몸을 보니 김동렬 2005-07-30 14902
5738 우리당의 미래는 밝다 김동렬 2004-04-26 14902
5737 한나라당이 망하는 이유. 김동렬 2005-10-15 14899
5736 추미애는 트로이의 목마다 image 김동렬 2004-04-03 14899
5735 여행 하지마라 김동렬 2007-10-18 14896
5734 제안 하나 (한겨레신문에 전단지 끼워 돌립시다) 아다리 2002-10-13 14896
5733 박지성과 박주영이 일을 낼 것인가? 김동렬 2006-05-29 14891
5732 Re..완전과 불완전의 차이아닐까요? 꿈꾸는 자유인 2002-10-04 14889
5731 Re..지역감정은 실체가 있는 것입니다. 김동렬 2002-10-09 14887
5730 정체성 찾기 3 김동렬 2010-10-13 14885
5729 미국은 죽었다 김동렬 2004-11-05 14885
5728 마음의 그릇 image 4 김동렬 2010-11-10 14880
5727 맹구 국회의원 신기남선수 병살타 치다 image 김동렬 2003-05-20 14880
5726 조조와 원소 1 김동렬 2010-12-31 14879
5725 학문의 역사 보충설명 김동렬 2007-09-30 14878
5724 강준만의 노무현 죽이기와 살리기 image 김동렬 2003-08-05 14878
5723 케리가 이긴다 김동렬 2004-10-04 14876
5722 철학의 질문 백가지 15 김동렬 2009-08-09 148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