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106 vote 0 2021.01.04 (20:49:49)


    구조론은 세상을 구조로 설명한다.


    구조는 의사결정구조다.


    의사결정구조는 대칭구조다.


    대칭에는 대칭된 둘이 공유하는 접점이 되는 축이 있다.


    축이 이동하면서 대칭이 비대칭으로 바뀌는 것이 의사결정이다.


    하나의 사건은 원인에서 결과까지 진행하는 동안 다섯 번 대칭을 조직한다.


    닫힌계의 안과 밖, 코어의 중심과 주변, 균형의 좌우, 방향의 앞뒤, 변화의 위치와 관측자로 다섯 가지 대칭과 비대칭이 차례로 일어난다.


    짝수인 대칭이 홀수인 비대칭으로 바뀌면서 보다 사건의 범위를 좁혀서 새로운 짝수로 대칭을 만들며 자투리가 남아서 엔트로피가 증가된다.


    외부의 개입이 없는 닫힌계 안에서의 의사결정은 대칭을 조직하는 절차에 자원의 일부가 동원되므로 그만큼 의사결정구조에서 이탈하며 이를 무질서도로 표현한다.


    의사결정은 짝수를 홀수로 바꾸는 과정을 5회 반복하여 축을 이동시키며 나머지는 축에 맞물려 따라온다.


    내부적인 연결상태를 의미하는 닫힌계 내에서의 어떤 결정은 연결의 단절 형태로만 가능하다.


    사건이 진행하는 다섯 단계에 걸쳐 의사결정지점이 점차 국소화되고 부분화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사건의 추이를 판단하고 미래를 예견할 수 있다.


    상하 좌우 전후 고저 장단 흑백 명암 원근 강약 흥망 내외 대소 기타등등 무수한 대칭이 있다.


    대칭에는 반드시 코어와 균형이 있다.


    닫힌계 내부에 에너지의 모순이 발생하면 먼저 균형을 이루고 다음 코어를 이동시켜 균형을 깨뜨리며 새로운 균형을 찾아내는 형태로 사건은 진행된다.


    전체의 균형에서 의사결정을 일으키며 일부가 죽고 살아있는 나머지의 균형에서 다시 의사결정을 일으키며 일부가 죽는 형태로 사건은 일어나며 점차 국소화된다.


    연결이 끊어져 모순이 닫힌계 밖으로 배출되는 형태로 사건은 종결된다.


    부분에서 균형을 찾아가는 현상이 도리어 전체의 불균형을 유발하므로 사건은 알 수 없게 된다.


    두 선박이 가까운 거리에서 나란히 가면 좁은공간 효과로 두 선박 사이의 유속이 빨라지고 수압이 낮아져서 두 선박이 붙어버린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714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7089
1214 한나라당 지지율 곤두박질한다 image 김동렬 2004-10-08 13222
1213 노사모 새 집행부를 환영하며 김동렬 2004-10-07 13103
1212 갑제옹 박근혜를 치다 김동렬 2004-10-05 13235
1211 케리가 이긴다 김동렬 2004-10-04 14916
1210 노무현은 무엇으로 사는가? 김동렬 2004-10-02 13057
1209 최근여론조사 분석 김동렬 2004-09-30 12954
1208 노사모는 선거중 김동렬 2004-09-28 13039
1207 즐거운 한가위 되시길 image 김동렬 2004-09-25 13968
1206 전여옥 유권자를 고소하다 김동렬 2004-09-24 9124
1205 얼굴마담 박근혜 김동렬 2004-09-24 13784
1204 전여옥 인간 만들기 진행중 김동렬 2004-09-23 13732
1203 참사람을 찾아서 김동렬 2004-09-22 12644
1202 전여옥과 결전하면서 image 김동렬 2004-09-21 14464
1201 높이 나는 새가 멀리 본다 김동렬 2004-09-20 13736
1200 이문열 실패기 김동렬 2004-09-16 14005
1199 노무현의 승부수 김동렬 2004-09-15 13267
1198 갑제들이 망동하는 이유는? 김동렬 2004-09-14 14655
1197 "자유가 아니면 죽음을" image 김동렬 2004-09-11 14563
1196 노무현대통령의 의제선정에는 뭔가가 있다 김동렬 2004-09-10 12853
1195 노하우21의 탄생을 축하하며 김동렬 2004-09-09 128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