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590 vote 0 2020.12.01 (11:47:46)

      

    사건과 전략


    우주에 무엇이 있는가? 오직 변화가 있을 뿐이다. 관측자 기준으로 보면 나란한 변화와 나란하지 않은 변화가 있다. 나란한 변화는 변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실제로는 변화다. 변하지 않는 것은 시공간 속에서 자기 존재를 드러낼 수 없기 때문이다. 변화가 아니면 무다.


    존재는 모두 변화다. 변화 자체의 질서로 보면 예측가능한 변화와 예측불가능한 변화가 있다. 곧 질서와 무질서다. 예측가능한 변화는 계를 이룬다. 계는 둘의 연결이다. 둘이 연결되면 서로를 제한하게 된다. 제한을 극복하려면 이기는 기동을 해야한다. 그러므로 예측된다.


    커플은 대칭을 이루므로 서로의 영역을 침범하고 제한한다. 제한을 풀려면 둘이 공유하는 대칭의 축을 장악하고 자신이 의사결정권을 행사해야 한다. 에너지 입력측을 확보해야 한다. 효율적인 기동 곧 합리적인 기동을 해야 한다. 그러므로 이기는 코스는 사전에 정해져 있다.


    수학적으로 예측된다. 비합리적인 기동은 상대에 의해 제한되어 실패가 되기 때문이다. 우여곡절 끝에 생쥐는 미로를 탈출한다. 탈출하지 못하는 선택은 배제된다. 그 부분은 의미가 없다. 탈출과정에 있었던 우여곡절은 논하지 않는다. 합리적인 행동만 의사결정으로 남는다.


    비합리적인 기동은 중간과정의 탐색이나 모색이지 결정이 아니다. 모든 의미 있는 결정은 합리적이므로 결과는 예측된다. 문제는 반복에 따른 시간성이다. 순서를 바꾸는 방법으로 이길 수 있다. 1차전을 져주고 2차전과 3차전을 가져온다. 작은 것을 져주고 큰 것을 이긴다.


    이 기술을 쓰려면 게임을 여러 번 시도해야 한다. 많은 시간이 걸린다. 넓은 공간도 필요하다. 이를 전략이라고 한다. 전략이 실패로 돌아갈 수 있다. 이때 뒤를 받치는 것이 확률이다. 게임을 반복하면 결국 전략대로 된다. 전략이 먹히는 이유는 전건긍정의 원리 때문이다.


    게임에서 모순을 일으킨 둘은 서로를 제한하며 이는 공간의 대칭이다. 시간으로 보면 언제나 전건이 후건을 제한하며 그 역은 없다. 이는 시간의 비대칭이다. 무조건 먼저 기술을 구사하는 쪽이 이긴다. 되치기도 있지만 되치기를 노리고 자세를 잡는 행동은 선제대응이다.


    되치기를 하려면 힘이 받쳐줘야 한다. 힘을 받치는 자세는 정해져 있다. 그 자세는 미리 준비되어야 하므로 무조건 먼저 전략을 구사하는 쪽이 이긴다. 외부요인이 끼어들면 전략이 빗나가지만 확률이 있으므로 계를 닫고 반복하여 시도하면 예측범위 안에서 보편성을 따른다.


    좁은 공간과 짧은 시간으로 제한되면 예측을 벗어나는 것은 특수성이다. 전략의 기본은 내가 보편성을 차지하고 상대가 특수성에 매몰되게 유도하는 것이다. 상대는 특수성을 이용하려고 좁은 공간과 짧은 시간을 선택하다가 공간의 궁지에 몰리고 시간의 초읽기에 몰린다.


    전략을 구사하여 보편성을 얻으려면 넓은 공간으로 나오고 긴 시간으로 결정하여야 한다. 넓은 공간으로 나오는 것이 열린주의라면 긴 시간으로 대비하는 것은 장기전이다. 진보는 열린주의에 장기전에 보편주의에 전략주의다. 반대로 특수성을 얻어 전술을 구사하는 자들이 있다.


    진보의 전략 – 보편주의, 열린주의, 장기전
    보수의 전술 – 특수주의, 닫힌주의, 단기전


    전략이 아닌 전술을 구사하려면 특수성을 얻어야 한다. 전략은 전장 바깥에서 결정되고 전술은 전장 안에서 결정된다. 전장 안은 공간이 좁다. 좁은 길목에서 지형지물을 이용한다. 보수는 나이가 많아서 시간에 쫓기는 데다가 공간이 비좁아서 선택지가 갈수록 감소한다.


    환경을 장악하지 못하고 거꾸로 환경에 지배된다. 환경은 변화하므로 점차 보수에게 불리하게 흘러간다. 반면 사건의 진행은 닫힌계 안에서 선택지가 감소하는 마이너스 방향이므로 외부요인의 개입이 없으면 보수에게 유리하다. 진보는 외부에서 새로운 전단을 열어야 한다.


    존재는 사건이다. 사건은 계의 모순이 해소되는 절차다. 계는 둘 이상의 변화가 연결된 것이다. 계는 안과 밖이 구분되어 마치 입자처럼 보인다. 입자라는 것은 대략 인간의 상상이고 사실은 의사결정단위로 계가 있는 것이다. 모순은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돌려막기 된다.


    모순의 해소가 주변에서 또 다른 모순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질, 입자, 힘, 운동, 량은 모순이 중심에서 주변부로 떠넘겨지는 과정이다.


[레벨:9]회사원

2020.12.02 (10:12:39)

전략에 관한 좋은 글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5359
6623 정몽준 폭탄’이 터졌지만 승리는 우리 것이다 김동렬 2002-12-19 17689
6622 비트코인 혁명의 시대 살아남기 image 5 김동렬 2017-12-10 17674
6621 시험에 든 한국의 민주주의 image 김동렬 2002-10-21 17674
6620 수고하셨습니다 동렬박사님 폴라리스 2002-12-19 17652
6619 까마귀 날자 몽 돌아왔다. image 김동렬 2003-06-27 17628
6618 한화갑의 내각제 논의 문제있다. 김동렬 2003-01-14 17615
6617 빌렌도르프의 비너스 image 8 김동렬 2017-02-14 17613
6616 [서프펌] 읽는 순간 소름이 -_-;; 왕소름 2002-12-06 17607
6615 정동영 대박이다 image 김동렬 2004-01-12 17598
6614 구조론의 출발점 image 김동렬 2014-04-05 17581
6613 사슬과 고리 image 김동렬 2013-06-18 17581
6612 구조의 모형 image 1 김동렬 2011-06-28 17562
6611 대구에도 사람이 살고 있었네.. image 김동렬 2003-08-20 17544
6610 Re..권영길때매 걱정이 태산이 됨 손&발 2002-12-04 17537
6609 성 정체성이 조작될 수 있는가? 김동렬 2002-10-26 17530
6608 미늘은 시퍼렇게 날을 세운채 기다리고 있는데 김동렬 2003-05-23 17519
6607 강금실의 황금시대는 오는가? image 김동렬 2003-07-20 17516
6606 이회창 후보도 건강'검증'을 받아야.. ^^ 시민K 2002-11-16 17508
6605 몽골은 왜 몰락했는가? 김동렬 2005-11-07 17503
6604 평상심이 도다 4 김동렬 2009-08-13 174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