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334 vote 0 2020.10.12 (13:54:51)

      

    낙태죄의 문제


    여성은 낙태할 권리가 있다.


    의사는 생명을 살릴 의무가 있다.


    여성의 낙태권리와 상관없이 의사의 태아살인은 형사범죄가 될 수 있다.


    태아 성감별에 의한 낙태나 유전적 시부모 혹은 유전적 친부의 강요에 의한 낙태, 포주의 강요에 의한 낙태는 금지되어야 하며 관계자는 처벌되어야 한다.


    법원은 성감별이나 타인의 개입이 아닌 친모의 자유의사에 의한 낙태임을 확인할 의무가 있다.


     산모가 임신사실을 알고 낙태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간을 허용하고 그 기간 이후는 의사의 개입에 의한 낙태는 금지되어야 한다. 


    의사의 직접 개입이 아닌 약물 등을 이용한 낙태 허용을 고려할 수 있다.


    성범죄에 의한 임신, 기형아, 산모의 건강을 해치는 경우 등은 언제든지 낙태할 수 있다.


    사회의 법질서는 맞대응의 원리에 의해 작동한다. 임신사실을 알고 한 달 이내에 본인이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 무작정 낙태허용은 말이 안 된다. 돈을 던져주고 애를 지우라고 압박하거나 혹은 돈을 뜯어낼 목적으로 임신하는 수가 있다. 


    기회를 줬는데도 본인이 의사결정을 못 하면 그에 따른 후과는 자기 책임이다. 


    낙태는 여러 사람이 관련된 복잡한 문제다. 후폭풍을 생각해봐야 한다. 낙태를 할 수 있는 기간은 전문가의 판단을 따라야 한다. 산모가 임신사실을 알게된 시점부터 한 달 정도의 의사결정 유예기간을 허용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본다.


    무작정 낙태를 금지하면 산모가 배를 졸라매거나 높은 곳에서 뛰어내리거나 독약을 먹는 등의 민간요법으로 사산을 시도하게 된다. 미혼모의 사산은 많은 경우 민간요법을 쓴 것이다. 사회의 룰은 이러한 맞대응을 고려하는 것이어야 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1140 참교육으로 갈아타자 1 김동렬 2020-04-29 2940
1139 시간의 정체 김동렬 2021-09-21 2939
1138 불변의 이데아, 변화의 구조론 김동렬 2021-08-24 2936
1137 천재와 둔재의 차이 김동렬 2022-10-17 2935
1136 긍정과 부정의 변증법 김동렬 2020-11-19 2933
1135 정보를 싣는 그릇 1 김동렬 2019-12-03 2932
1134 유체가 강체를 이긴다 김동렬 2021-10-25 2931
1133 프레임을 깨는 사고 김동렬 2022-09-23 2930
1132 질 입자 힘 운동 량 김동렬 2021-10-31 2929
1131 세상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김동렬 2021-04-05 2928
1130 향원을 토벌하라 김동렬 2020-12-06 2928
1129 존재가 아니라 부재다 1 김동렬 2023-03-30 2927
1128 생각은 도구를 쓴다. 1 김동렬 2019-11-26 2926
1127 원자론과 구조론 image 5 김동렬 2020-01-13 2925
1126 구조론은 도구다 1 김동렬 2019-10-28 2925
1125 이성과 감성 2 김동렬 2021-06-26 2924
1124 국가와 사회와 개인의 정답은 무엇인가? 1 김동렬 2020-06-21 2924
1123 생각의 출발 김동렬 2023-06-08 2922
1122 원인은 공간에 있다 3 김동렬 2021-05-10 2919
1121 김종인의 사과놀이 실패 김동렬 2020-12-10 2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