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회사원
read 1593 vote 1 2020.09.28 (10:23:08)

세상을 살면서, 여러가지 작업들을 하게 된다. 그 작업들의 성격을 분류해보자면 


단순 생활 영위 / 단순 반복 수행 작업 / 사회가, 윗사람이, 가부장이 시키는 대로 하기 등의 일들이 메이저를 차지하지만, 


가장 중요하고 핵심적인 일을 하나 꼽으라하면서 바로 '청사진을 설계하는 일' 일 것이다. 



단순 반복 수행 작업이나 사회-윗사람-가부장 등이 시키는 대로 하기는 사실 쉽다. 그냥 시키는 대로 하면 된다. 


가장 어려운 것은 현재 구도와 상황에 대한 정보를 모으고, 이를 자신만의 문맥으로 재구성하여 상황과 사건을 이해하고, 


나의 전략적 포지션과 행동방향을 결정하는 것일 것이다. 구조론으로 말하면 의사결정, 즉 철학의 영역이다. 



나는 개인적으로 단순반복, 위에서 지시한대로 수행하는 작업을 하다가 어느 날 갑자기 내가 설계를 해야하는 상황을 


맞딱뜨렸었다. 그것도 여러 변수가 통제된 아주 쉬운 환경이 아니라,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환경이었다. 


이 환경속에서 내가 설계를 하고 그에 대한 성과가 피드백 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어찌보면 사업도 이 범주일 것이다) 


구조론과 같은 학문의 필요성을 느꼈고, 이 사이트를 찾아오게 되었다. 




지금도 수 없이 많은 일을 하지만, 단연코 가장 으뜸은 '설계'업무이다. 그리고 이 업무는 경험이 적은 사람과 많은 사람의 


차이가 혁혁하게 드러나는 부문이다. 그리고 아마 장기적 성과의 차이를 가장 크게 만드는 영역일 것이다. 


환경에 대한 정보를 모으는 것 / 모은 정보를 어떤 틀을 통해 이해하는 것 / 청사진을 과감하게 설계하는 것 / 


시행착오와 반대를 무릎쓰고 나의 설계를 관철하는 것 / 이해관계자를 설득하는 것 / 


최종적으로 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셋팅해주는 것 / 최종 결과물을 책임지고 이 성과와 손실을 수확하는 것



이 모든 단계가 설계의 영역이다. 그리고 정치도 결국 사회 구성원의 이런 과정들을 반영하는 부문일 것이다. 


구조론은 이 설계에 큰 영감을 주는 매우 귀중한 철학이었다. 지금도 거의 매일 구조론 사이트에 오지만


앞으로도 계속 올 것 같다. 동렬님을 비롯한 모든 구성원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 2020년 9월 2일 회사원 드림.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181
1808 존엄과 욕망 사이 4 양을 쫓는 모험 2011-03-09 4181
1807 근원의 표정 image 8 ahmoo 2011-03-09 4958
1806 경쟁에 반대한다 Intro: 나는 가수다? image 14 오세 2011-03-14 6724
1805 겨루기, 싸우기. 살림, 죽음. ░담 2011-03-20 4196
1804 나는 가수다, 당신이 분노해야 할 이유 image 2 조영민 2011-03-21 4542
1803 미학(美學)은 기(起) 입니까? 1 함성한 2011-03-23 3843
1802 부바키키 언어 계통수 발견하기. ░담 2011-03-23 5354
1801 경제와 주가의 구조론적예측툴에 관해서 질문 2 갈구자 2011-03-23 4075
1800 경쟁에 반대한다 1편: 경쟁은 무의식이다 image 6 오세 2011-03-23 10254
1799 나는 가수다 - 경쟁은 상생을 위한 보조수단 이라는 것이 '원칙' 이다. image 3 아란도 2011-03-28 5121
1798 경쟁에 반대한다 3편: 죽음의 사다리를 걷어치워라! image 5 오세 2011-04-06 4617
1797 마인드맵의 진화단계 7 juseen 2011-04-26 5066
1796 성과를 두 배로 늘리는 법 있나요? 4 김신웅 2011-05-04 4109
1795 현대물리학의 개념들에서 질에 해당하는 것이 무엇일까요? 11 wson 2011-05-04 4241
1794 대진화, 포화진화, 환경 변화 3 wson 2011-05-08 4538
1793 연꽃의 역설 image 3 양을 쫓는 모험 2011-05-10 4274
1792 과학의 정체(?) 35 wson 2011-05-25 4585
1791 6천년 전에 세워진 아일랜드 고인돌 image 2 김동렬 2011-05-25 8407
1790 삶과 죽음 image 1 눈내리는 마을 2011-05-28 3685
1789 구조를 알아야 관계는 도약된다. 5 조율 2011-05-29 4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