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5577 vote 0 2003.06.21 (19:37:13)

글쓴이: 부산촌놈
제목: 헉 초등학생 5명이 또 죽었군요....

어느 초등학교 1학년 반에서 선생님이 아이들이 떠든다구 단체로 기합을 주었다......

1학년이면 아기들인데 당연히 말 안듣구 떠드는게 당연하지...

몰 그 어린것들을 기합을 주구 그러나?// 선생들이 문제는 문제다

단체기합으로 전부들 책상위에 올라가 무릎꿇구 두손 들구 잇으라구 하엿다...

어린아이들은 호통치는 선생님이 당연히 무서워 모두들 고분고분하게 시키는대로 기합을 받앗다...하지만 워낙 어린아이들이구 날씨두 무척 더운지라 아이들은 금방 힘들어 하였다..

하지만 선생님은 그 어린것들한테 일장연설을 하면서(말이나 알아들엇을라나)

눈에 쌍심지를 키고 큰소리로 야단을 게속 치구 잇엇다..

아이들은 집 같앗으면 벌써 울구불구 햇을텐데 암만 어려도 분위기 파악은 하는지라 학교라는 곳이어서인지 울지두 못하구 시키는대로 열심히(?) 벌을 서고 잇엇다...그런데 갑자기 실내 방송에서 그 선생님을 급히 호출하는 방송이 나왓다(옛날같으면 급사가 달려 와서 알려주엇는데..^^;;)

선생님은 아이들에게 돌아올때까지 그 자세 그대로 잇으라고 단단히 일러두고 교무실로 갓다...

아이들은 너무두 순진한지라 선생님이 엄서두 팔두 못내리구 다리는 저려오구

급기야는 여자아이들은 울기 시작하였다..얼마나 지났을까??????

교무실로 간 선생님은 볼 일을 다 보구서두 바로 오질 않고 다른 선생님들하구 잡담을 하라 아이들 벌을 준걸 까맣게 잊고 잇엇다

뒤늦게 아차~~~~!!!!!하는 생각이 들어 선생님은 교실로 달려갓다....

아니니 다를까~~~~~아이들은 거의 초죽음 상태가 되어 교실은 완전히 울음바다가 되어 잇엇구 몇몇 아이들은 쓰러져 잇엇다....

너무 놀란 선생님은 급히 아이들을 수습하고는 좀 상태가 안조은 아이는 양호실로 보냇다..그리고는 암만 자기가 선생이라도 아이들에게 미안하기도 하고 혹시라도 이 사실이 학부형에게라도 알려질까바 아이들에게 시원한 아이스크림 하나씩 사주고는 전부 아이들을 데리고 운동장으로 나갓다.

워낙 어린아이들이라 좀전의 아픈 기억은 아이스크림 하나에 금방잊어 버리고는 선생님이 좋다구 난리엿다..

아이들을 운동장으로 데리고 나간 선생님은 아이들에게 피구(=오재미)를 가르쳐 주구 편을 나눠서 하게 하엿다....그런데...그게 실수엿다

그 더운 날에 더욱이 벌로 인하여 몸이 지칠대로 지친 아이들에게 뛰어 다녀야 하는 피구라니???????????제 정신인가????

결국엔 피구를 하다가..............
.
.
3명은 ......
.
.
.
.
.
.
.
.
.
.
.
.
.
.
.
.
.
.
.


금 밟아서 죽고..........2명은 공맞아서 죽었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6775
6864 구조론 동영상 1 김동렬 2010-03-22 196921
6863 LK99 과학 사기단 image 김동렬 2023-08-07 71411
6862 진보와 보수 2 김동렬 2013-07-18 58563
6861 진화에서 진보로 3 김동렬 2013-12-03 58444
6860 '돈오'와 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3-01-17 56361
6859 소통의 이유 image 4 김동렬 2012-01-19 55778
6858 신은 쿨한 스타일이다 image 13 김동렬 2013-08-15 55326
6857 관계를 창의하라 image 1 김동렬 2012-10-29 48984
6856 답 - 이태리가구와 북유럽가구 image 8 김동렬 2013-01-04 45844
6855 독자 제위께 - 사람이 다르다. image 17 김동렬 2012-03-28 45053
6854 청포도가 길쭉한 이유 image 3 김동렬 2012-02-21 42510
6853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image 3 김동렬 2012-11-27 42371
6852 구조론교과서를 펴내며 image 3 김동렬 2017-01-08 42257
6851 아줌마패션의 문제 image 12 김동렬 2009-06-10 42086
6850 포지션의 겹침 image 김동렬 2011-07-08 41548
6849 정의와 평등 image 김동렬 2013-08-22 41172
6848 비대칭의 제어 김동렬 2013-07-17 39217
6847 구조론의 이해 image 6 김동렬 2012-05-03 39163
6846 비판적 긍정주의 image 6 김동렬 2013-05-16 38280
6845 세상은 철학과 비철학의 투쟁이다. 7 김동렬 2014-03-18 378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