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7]현강
read 1280 vote 1 2020.08.15 (13:48:31)

'사과가 달다'는 매우 간결한 문장이다. 보통 사과가 원인이고 단 게 결과라 한다. 사과니까 달지 오이였으면 달지 않았을 거라는 식이다. 그런데 복숭아도 달던데? 사과가 원인이라고 하기에는 원인과 결과가 일대일 매치가 안된다.

혹은 사과는 빨갛던데? 이러면 역시 원인과 결과의 관계는 갖다붙이기 나름이다. 원인에는 원인이 없고 결과에는 결과가 없다. 관측자가 인과율에 참여한다는 게 들춰야 할 숨은 전제이다. 사과는 대상이며 달다는 건 나의 인식이다.

사과의 사정이 썩거나 잘 익거나 아니면 아예 오이나 철근이나 혹은 다른 사람으로 변화한다. 그 때 대상과 관측자의 관계가 변화한다. 음식과 섭취자인지 자재와 건축가인지 인간관계인지로 변화한다.

최종적으로 관측자의 인식이 변화한다. 사과가 썩으니 사과 맛이 나빠지게 인식되는 식이다. 사람에게 있어 사과와의 관계는 음식이 아니라 비료로 전락한다. 반대로 관측자의 사정이 입맛이 떨어진다거나 배가 부르다거나 변화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관측자의 사정에 맞추어 사과의 지위가 변화한다. 둘 중 하나의 변화에 나머지 하나의 변화가 연동될 때 둘 간의 관계라는 존재는 변화한다. 식량이 비료가 되기도 하고 똥이 금이 되기도 한다.

둘의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가 바뀌는 것이다. 동사는 인식의 변화만을 나타낸다. 대상과 진술자 둘 사이의 관계를 한 번에 나타내는 단어는 명사이다. 바람이라는 말에는 이미 기압차와 그걸 감지하는 관측자의 사정 간 합의가 들어가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909
2047 2002-2022 dksnow 2022-12-12 2126
2046 가설연역법에 기반한 상호작용 시스템 chow 2022-12-11 2137
2045 손주은이나 대치동 똥강사들보다 100배 낳은 최겸 image 3 dksnow 2022-12-07 4311
2044 장안의 화제 Open AI chatbot (ChatGPT) image 6 오리 2022-12-06 2662
2043 한국이 브라질을 작살내는 법 chow 2022-12-04 2206
2042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2-12-01 1670
2041 12/1 유튜브 의견 dksnow 2022-12-01 1439
2040 대항해 시대 kamal 툴 dksnow 2022-11-21 1932
2039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1 오리 2022-11-17 1933
2038 중국 농촌의 토지정책 1 mowl 2022-11-13 2371
2037 나의 발견 SimplyRed 2022-11-06 2658
2036 심폐소생술과 하인리히법 chow 2022-11-04 2687
2035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2-11-03 2553
2034 현 시대에 관한 개인적일 수 있는 생각들.. SimplyRed 2022-10-29 3106
2033 사이비의 돈벌이 구조 dksnow 2022-10-27 2850
2032 돈이란 무엇인가 dksnow 2022-10-20 3242
2031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1 오리 2022-10-20 2637
2030 IDC 사태와 닫힌계 레인3 2022-10-16 2741
2029 지식과 권력 systema 2022-10-15 2598
2028 80년대-90년대-2000년대-2010-20년대 한국사회 dksnow 2022-10-14 2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