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7]현강
read 1281 vote 1 2020.08.15 (13:48:31)

'사과가 달다'는 매우 간결한 문장이다. 보통 사과가 원인이고 단 게 결과라 한다. 사과니까 달지 오이였으면 달지 않았을 거라는 식이다. 그런데 복숭아도 달던데? 사과가 원인이라고 하기에는 원인과 결과가 일대일 매치가 안된다.

혹은 사과는 빨갛던데? 이러면 역시 원인과 결과의 관계는 갖다붙이기 나름이다. 원인에는 원인이 없고 결과에는 결과가 없다. 관측자가 인과율에 참여한다는 게 들춰야 할 숨은 전제이다. 사과는 대상이며 달다는 건 나의 인식이다.

사과의 사정이 썩거나 잘 익거나 아니면 아예 오이나 철근이나 혹은 다른 사람으로 변화한다. 그 때 대상과 관측자의 관계가 변화한다. 음식과 섭취자인지 자재와 건축가인지 인간관계인지로 변화한다.

최종적으로 관측자의 인식이 변화한다. 사과가 썩으니 사과 맛이 나빠지게 인식되는 식이다. 사람에게 있어 사과와의 관계는 음식이 아니라 비료로 전락한다. 반대로 관측자의 사정이 입맛이 떨어진다거나 배가 부르다거나 변화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관측자의 사정에 맞추어 사과의 지위가 변화한다. 둘 중 하나의 변화에 나머지 하나의 변화가 연동될 때 둘 간의 관계라는 존재는 변화한다. 식량이 비료가 되기도 하고 똥이 금이 되기도 한다.

둘의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가 바뀌는 것이다. 동사는 인식의 변화만을 나타낸다. 대상과 진술자 둘 사이의 관계를 한 번에 나타내는 단어는 명사이다. 바람이라는 말에는 이미 기압차와 그걸 감지하는 관측자의 사정 간 합의가 들어가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995
2068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3-03-09 3203
2067 챗gpt와의 대화 33가지 image 1 아란도 2023-02-28 3562
2066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3-02-22 2565
2065 인류가 가진 단 하나의 지식 1 chow 2023-02-12 2752
2064 주최자의 관점 image SimplyRed 2023-02-10 2223
2063 구조론 동인 불금 번개 모임 image 4 이상우 2023-02-09 2258
2062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3-02-09 1893
2061 변이의 그나마 적절한 설명 1 chow 2023-02-01 2225
2060 거시세계의 불연속성 image 2 chow 2023-01-30 2527
2059 파인만 별 거 없네, 무한과 재규격화 6 chow 2023-01-29 2266
2058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3-01-25 1558
2057 박찬호와 김병현의 차이점 dksnow 2023-01-25 1824
2056 일원론의 충격 1 systema 2023-01-18 1827
2055 기술에 대해 정확히 말하기 dksnow 2023-01-16 1014
2054 냉전 이후 자본주의와 디지털 혁신 dksnow 2023-01-16 1048
2053 무한과 연속성의 차이 chow 2023-01-12 1041
2052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3-01-11 898
2051 수학의 기원과, 아랍 (페르시아)의 역할 image dksnow 2023-01-07 1420
2050 법과 현실의 특성에서 본 괴리, 불확정성원리 SimplyRed 2022-12-31 1608
2049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2-12-28 15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