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519 vote 0 2020.08.12 (14:13:48)

      

    구조론의 이해


    구조론은 관계로 세상을 바라본다. 하나의 사건은 다섯 개의 연결로 이루어진다. 그 연결의 라인이 하나씩 끊어지면서 사건은 진행된다. 그런데 왜 다섯이어야 하는가? 구조론은 자체적인 의사결정을 다루기 때문이다. 우리가 사건을 이해하는 개념은 원인과 결과다. 관측자가 있다.


    사건 내부의 자체적인 단서는? 그게 구조론이다. 쉽게 말하면 관측자를 사건 내부에 집어넣은 것이다. 그것이 상호작용이다. 원인, 원인을 보는 자, 결과, 결과를 보는 자, 보이는 자와 보는 자의 관계까지 다섯이다. 당구공은 어디로 굴러갈까? 그것은 당구를 치는 사람이 결정한다. 


    자체의 내재한 논리에 따라 의사결정이 일어난다면? 핵폭발이 일어나는 이유는? 핵폭탄 자신이 결정한다. 내부의 환경이 임계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씨앗은 언제 발아하는가? 봄이 되어야 싹이 튼다. 달걀은 언제 부화하는가? 그것은 미리 결정되어 있다. 알람이 울리는 이유는?


    그것은 내재적인 원인이 있다. 외부에서 타격했더라도 외부의 영향을 받아들이는 내부구조가 있기 때문에 내부질서는 반드시 있다. 축구공이 골이 되는가 노골이 되는가는 메시가 결정하지만 공에 펑크가 났다면? 공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간다면? 그 부분을 규명하자는 것이다.


    그 내재하는 구조적 원인은 무엇인가? 질, 입자, 힘, 운동, 량이다. 다섯인 이유는 변화를 반영하기 때문이다. 변화의 범위, 변화의 시작점, 공간의 변화, 시간의 진행, 변화의 종결까지 내부적인 결정요소는 다섯이다. 모든 변화는 둘 이상의 자리바꿈이기 때문에 다섯이 되는 것이다. 


    어떤 하나가 갑자기 변하는 일은 절대로 없다. 질량보존의 법칙 때문이다. 질량보존의 법칙은 모든 변화가 자리바꿈일 뿐 즉 관측자에게 다르게 보일 뿐, 어떤 시공간적 범위 안에서의 변화일 뿐 에너지의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생겨나거나 사라진 것이 없이 변화한다면?


    생겨나지 않았다. 사라지지 않았다. 그런데 달라졌다면? 이미 존재하는 것 사이의 라인이 연결되거나 혹은 끊어진 것이다. 커플이 깨졌다고 치자. 변했지만 변하지 않았다. 두 사람은 그대로 있다. 단 두 사람의 시선의 방향이 바뀌었다. 두 사람은 서로를 향해 눈길을 주지 않는다. 


    바라보는 눈의 각도만 틀어진 것이다. 질량보존을 충족시키려면 우주 안의 모든 변화는 공간적 자리바꿈이어야 한다. 혼자서는 자리를 바꿀 수 없다. 하나가 변했다면 실제로는 둘이 변한 것이므로 A의 변화 원인과 결과, B의 변화 원인과 결과, 둘이 공유하는 부분까지 다섯이다. 


    우주 안의 모든 변화는 이 하나의 원리를 따른다. 즉 변화가 질량보존의 법칙에 의해 관계의 변화, 라인의 변화에 지나지 않음을 깨달아야 한다.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 어떤 둘이 중복과 혼잡을 제거하고 점, 선, 각, 체, 계로 연결될 때 존재 자체의 논리를 따라 사건이 일어난다.  


    점과 점의 점인 선, 선의 선인 각, 각의 각인 체, 체의 체인 계로 연결될 때 자체적으로 사건은 일어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20.08.15 (04:18:05)

"우주 안의 모든 변화는 이 하나의 원리를 따른다. 즉 변화가 질량보존의 법칙에 의해 관계의 변화, 라인의 변화에 지나지 않음을 깨달아야 한다."

- http://gujoron.com/xe/1227367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760 구조론의 길 김동렬 2021-05-02 2555
759 권력의 자유주의와 보상의 사회주의 1 김동렬 2020-08-09 2555
758 사건과 전략 1 김동렬 2020-12-01 2554
757 사랑과 운명 김동렬 2023-12-25 2553
756 지식권력의 문제 김동렬 2022-01-08 2553
755 우주가 5인 이유 1 김동렬 2020-04-25 2551
754 존재론의 태도 1 김동렬 2020-03-15 2551
753 담로와 계림 김동렬 2021-02-20 2548
752 엔트로피 총정리 김동렬 2021-12-16 2547
751 도구를 다루는 것이 철학이다 2 김동렬 2020-08-26 2546
750 변화 질서 전략 김동렬 2020-12-01 2545
749 김훈 장미란 노사연 김종민 김동렬 2023-08-28 2544
748 인문학의 맹점 1 김동렬 2023-01-05 2544
747 지능은 질문이다 1 김동렬 2022-07-17 2542
746 한국은 희망이 없다 김동렬 2023-03-19 2541
745 지능은 권력이다 2 김동렬 2022-07-16 2541
744 핀란드인의 행복 1 김동렬 2022-04-05 2537
743 연결과 단절 1 김동렬 2022-03-20 2535
742 구조론 간단정리 image 김동렬 2020-12-22 2535
741 인간의 권력의지 김동렬 2021-03-17 25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