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5]다음
read 6864 vote 0 2020.08.10 (22:57:47)

과거의 엘리트는 '글자를 아는 사람'이었다면 근대부터는 '확률을 아는 사람'이라고 말할 수 있다. (수학적인 확률 개념은 서양의 한 도박꾼이 제시했다고 한다.) 현대의 엘리트는 '구조론을 아는 사람' 혹은 '관계를 아는 사람'으로 바뀌고 있는데 이 과도기의 연결고리로써 필자는 확률을 구조론적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무작위 자연수를 뽑는 것을 생각해보자. 그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할 수 있다. 자연수는 무한히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0~1 사이의 수도 무한히 많지만 무작위 수를 뽑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왜 자연수를 뽑는 것은 불가능할까? 자연수의 '무한히 뻗어나가는 성질' 때문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관계의 언어가 있다면 무작위 자연수를 뽑을 수 있다. 특정한 수를 뽑는 것이 아니라 관계를 뽑는 것이다. 어떤 수의 특징이 뽑은 시점에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후에 관계에 의해 소급되는 것이다. 말하자면 빈칸을 뽑는 것이다.

이를 응용하면 무작위 확률, 구조, 게임 등을 뽑는 것이 가능하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228315
2361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newimage 오리 2025-07-02 32
2360 언어, 사회와 블록체인 SimplyRed 2025-06-26 200
2359 구조치의 챗지피티가 바라본 구조론 1 경계인 2025-07-01 223
2358 오징어 게임에 좋은 내용을 기대할 수 없는 이유 추론이 철학이다 2025-06-29 294
2357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3 김동렬 2025-06-19 377
2356 신도 우리를 통해 신을 본다. SimplyRed 2025-06-20 397
2355 파동과 입자, 시간과 운동 2 chow 2025-06-21 428
2354 팔자핀다 덴달 2025-06-17 509
2353 [질문]지역주의와 정치에 대해서 12 추론이 철학이다 2025-06-26 557
2352 집값 3 레인3 2025-06-23 640
2351 (냉무) 스님의 "스"의 의미에 대하여 혹시 아시는 분 있을지 여쭙니다. 냉무 4 덴달 2025-06-21 715
2350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5-06-04 850
2349 최저임금 인상의 오해 9 추론이 철학이다 2025-06-15 864
2348 일원론이 다원론과 충돌하지 않는 이유 3 추론이 철학이다 2025-06-08 866
2347 비행기가 날려면 오히려 무거워야 하는 이유 image 추론이 철학이다 2025-06-06 922
2346 [제목 및 내용 수정] 구조치는 주어를 어떻게 쓰는가? 3 cintamani 2025-06-08 959
2345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1 오리 2025-05-21 1161
2344 투표 성향 관찰 레인3 2025-05-27 1167
2343 구조론의 중범위 이론화 ahmoo 2025-05-24 1169
2342 잣나무 샘플 ebook image 1 ahmoo 2025-06-01 1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