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5]다음
read 1248 vote 0 2020.08.10 (22:57:47)

과거의 엘리트는 '글자를 아는 사람'이었다면 근대부터는 '확률을 아는 사람'이라고 말할 수 있다. (수학적인 확률 개념은 서양의 한 도박꾼이 제시했다고 한다.) 현대의 엘리트는 '구조론을 아는 사람' 혹은 '관계를 아는 사람'으로 바뀌고 있는데 이 과도기의 연결고리로써 필자는 확률을 구조론적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무작위 자연수를 뽑는 것을 생각해보자. 그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할 수 있다. 자연수는 무한히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0~1 사이의 수도 무한히 많지만 무작위 수를 뽑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왜 자연수를 뽑는 것은 불가능할까? 자연수의 '무한히 뻗어나가는 성질' 때문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관계의 언어가 있다면 무작위 자연수를 뽑을 수 있다. 특정한 수를 뽑는 것이 아니라 관계를 뽑는 것이다. 어떤 수의 특징이 뽑은 시점에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후에 관계에 의해 소급되는 것이다. 말하자면 빈칸을 뽑는 것이다.

이를 응용하면 무작위 확률, 구조, 게임 등을 뽑는 것이 가능하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075
108 낳는 일이 존재의 가장 고귀한 목적이다. 3 ahmoo 2009-06-29 4704
107 징병제가 낫다. 1 양을 쫓는 모험 2009-06-16 8447
106 지역주의의 구조론적 해결방안 질의 1 천왕성 편지 2009-06-15 7002
105 궁금한데요... 2 다원이 2009-06-15 4956
104 뿌듯한 느낌 6 ahmoo 2009-06-14 4554
103 구조론이 생각하는 '조직관리'가 듣고 싶습니다 3 눈내리는 마을 2009-06-11 5157
102 삶의 일관성을 일깨우는 교육 image 5 ahmoo 2009-06-10 5392
101 스타일에 구속당하는가? 스타일을 주도하는가? 1 양을 쫓는 모험 2009-06-10 4865
100 진짜와 가짜 눈내리는 마을 2009-06-10 4756
99 시스템에서 감각으로 5 양을 쫓는 모험 2009-06-04 4981
98 글을 쓸수도 책을 읽을수도 없습니다 1 눈내리는 마을 2009-05-30 5581
97 일상에 대한 단상 12 참삶 2009-05-15 4699
96 비움과 채움의 균형잡기 image 3 ahmoo 2009-05-14 7284
95 세잔의 사과 image 3 양을 쫓는 모험 2009-05-08 21044
94 노무현은 아직도 할 일이 많다. 4 양을 쫓는 모험 2009-04-30 6229
93 성장통 image 2 눈내리는 마을 2009-04-28 5510
92 돈있는 수구꼴통들은 죄가 없습니다 물론, image 가혹한너 2009-04-17 8179
91 과학 속의 비과학 image 3 김동렬 2009-04-16 5874
90 자기존중감과 선을 넘기 3 ahmoo 2009-04-15 5853
89 남극빙어와 진화 4 다원이 2009-04-14 7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