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눈으로 들어온 빛의 정보를 시상세포가 전기신호로 바꿔 뇌에 전달한다. 뇌는 각 정보들을 조합해서 이미지를 만든다. 이는 의식 이전 단계이다. 그리고 이미지에 주목하는 것부터가 의식이다.

눈에 들어온 빛이 원본이라면 우리가 주목해 의식한 시각정보는 이미 복제본이다. 사실 눈에 들어온 빛도 어딘가에 반사되었을 것이므로 상대적으로 무언가의 복제본이긴 하다.

우리는 언제나 정제된 이미지만을 의식할 수 있을 뿐인데 정제되기 전 정보를 어떻게 추론할 수 있을까? '정제'라는 메커니즘을 알면된다. 소 눈을 해부하거나 색맹 혹은 외눈 등 조건을 제한하는 식을 생각해볼 수 있다.

굳이 뇌과학까지 가지 않도라도 지금 보고 있는 모니터에 대하여 그 주변부로 초점을 맞추는 것 자체가 해부이다. 초점을 바꾸니 뚜렷이 흐릿해지고 흐릿이 뚜렷해진다?

벌써 메커니즘의 존재를 느낄 수 있다. 연결된 관계 자체에 주목하면 해부를 하지 않고도 속사정을 추론할 수 있다. 반대로 대상에만 정보라는 대상에만 집중하면 해부를 하고서도 건질 게 없다.

인간이 우주의 순수한 정보를 습득할 수 없다는 좌절은 이러한 발상에서 나온다. 사실 한 단위 관측에서 가리켜지는 상부구조 측이 '순수'라는 말로 대신된 거다.

상부구조와 하부구조와의 연결에 주목해야 한다. 원본 정보는 이미 복제본으로 변했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 그러나 원본과 복제본의 라인은 여전히 살아있다.

어차피 원본에는 원본이 없으니 이런 식이면 순수에 닿을 수 없다. 사실 순수는 메커니즘 그 자체라는 걸 받아들이면 정보에 대하여 원하는 만큼 얼마든지 추적가능하다.

실제로 우리는 두 눈의 초점을 나란히 일치시키는 방법으로 원하는 정보에 선별적으로 닿을 수 있다. 두 눈이 주는 정보 중 하나를 끊음으로서 원근감이라는 보다 순수한 정보를 얻는다.

원본은 원본만으론 아무것도 아니다. 원본은 관측자에게 복제본과 복제되었다는 사실을 함께 전달한다. 복제본이라는 정보와 복제되었다는 정보 중 하나를 끊음으로서 원본을 추론할 수 있다.

복제라는 일은 훼손만을 뜻하진 않는다. 주고받기를 통하여 관계가 변경됨을 의미한다. 3과 2 혹은 4와 1중 어느 한 쪽에 몰아주는 방식으로 5라는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엔트로피에 좌절하지만 그 좌절도 엔트로피 덕분에 할 수 있었다. 복제본이라는 정보와 그에 대한 좌절이라는 정보를 두고 초점을 맞추면 원본을 추론할 수 있다.

엔트로피를 당할 수 있으므로 당한 만큼 엔트로피를 써먹을 수 있다. 다만 한 단위 안에서는 비가역이므로 내 밑으로 새롭게 한 단위를 개설하는 수 밖엔 없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823
2147 질문)구조론을 읽다가..질. 량. 아시는분? 2 x맨의 비극 2007-11-30 5270
2146 김동렬님께 질문이 1 나그네 2008-01-26 7209
2145 구조론 질문 1 피갈회옥 2008-07-18 5315
2144 하늘 만지기 1 필부 2008-08-20 5344
2143 말이 참 많다 1 필부 2008-08-23 6256
2142 [re] 말이 참 많다 1 필부 2008-08-25 5138
2141 당신들이 밉습니다. 10 가혹한너 2008-08-28 6608
2140 어휴...좀 어처구니없는 질문 드려보아요. 1 지구인 2008-09-24 5869
2139 '신과 나' 정말 큰 깨달음인 것 같습니다 1 자유인 2008-10-06 4553
2138 공간이란 뭘 까요? 8 율리 2008-10-07 5605
2137 생각하기 힘든생각을 대신 생각해주시는 수고로움 image 1 가혹한너 2008-10-14 4947
2136 조경란과 주이란 1 엘보우 2008-10-25 5341
2135 kbs 심야토론 정관용진행자의 하차에 대해서 1 가혹한너 2008-11-01 5723
2134 남녀간의 사랑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자유 2008-11-09 5038
2133 경제문제에 대해서는 한말씀도 안하시네요... 2 지구인 2008-11-18 4522
2132 구조론에 대한 질문 4 자유 2008-11-26 4079
2131 구조론에 도전해 보고 싶습니다 1 일리 2008-11-28 4479
2130 묻습니다... 2 새벽이슬2 2008-12-09 4365
2129 만유척력에 관하여.. 1 노란고양이 2008-12-10 6025
2128 퇴계에 관한 글을 읽으며... image 1 푸른호수 2008-12-26 48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