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5163 vote 0 2003.06.19 (00:03:48)

1996년 클린턴의 재선을 성공으로 이끈 선거참모 딕 모리스에 의하면, 클린턴의 승리는 민주당의 강경한 노선을 접고 공화당의 주장과 상당부분 절충한 중도회귀에 힘입었다고 한다.

정치는 타협의 기술이다. 항상 중도파가 승리하게 되어 있다. 이는 만고불변의 진리다. 그러나 처음부터 중도에 서 있던 회색분자가 승리한 예는 단 한번도 없다.

문제는 선거에 임하여 타협할 건수들을 얼마나 확보해두었느냐는 점과, 타협할 적절한 타이밍이다. 작년 대선에서 노무현은 정몽준 덕분에 저절로 타협과 중도회귀가 이루어졌는데 그 타협의 시점은 일반의 예상보다 훨씬 늦어졌다.

내년 총선에서 이겨야 노무현은 진짜 이나라의 대통령이 된다. 문제는 내년에 타협할 건수들을 지금 축적해놓지 않으면 안된다는 점이다. 정몽준과의 대타협도 선거 한달 남겨놓고 전격적으로 이루어졌듯이 노무현의 중도회귀는 늦을수록 좋다. 그러므로 지금은 만만한 조선일보라도 두들겨서 내년에 타협할 건수들을 벌어놓지 않으면 안된다.

한나라당은 두들겨주려해도 집안 꼴이 저래서 아직은 각을 세울 여지가 없다. 한나라당 두더쥐잡기는 저들의 대표경선 이후에나 가능한 일이고, 지금은 일단 동네북 조선일보라도 두들겨 보는 수 밖에 없다. 어쩌겠는가?

노무현은 두개의 전선을 가지고 있다. 하나는 지역주의와의 싸움이고, 하나는 권위주의와의 싸움이다. 일단 DJ와의 타협을 서둘러서 힘을 하나로 모은 다음에 한나라당 두더쥐를 잡는 것이 정석대로 가는 것이다.

싸움이 내년 4월이라면 6개월 정도 앞둔 올 10월~12월경에 한나라당과의 긴장을 최고도로 끌어올려야 한다. 3개월 정도 팽팽하게 가다가 서서히 긴장을 늦추어서 국민을 안심시킨 다음 선거로 들어가면 필승이다. 그렇다면 DJ와의 관계회복은 10월경까지는 이루어져야 한다.

정치는 타협의 예술이다. 그러나 타협하려는 의도를 내비치는 즉 타협은 수포로 돌아간다. 노무현은 승률높은 변호사 출신이어서 의도적으로 긴장을 높이므로서 상대방을 제풀에 나가떨어지게 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 그게 뚝심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0504
846 졸라 황당해하는 사진 image 김동렬 2003-07-20 16414
845 강금실 시대는 오는가? 김동렬 2003-07-19 14877
844 아무생각 없스미 image 김동렬 2003-07-19 15189
843 눈을 뜨시오! image 김동렬 2003-07-19 15327
842 대중은 참여를 원한다 김동렬 2003-07-16 14693
841 청년 우파여 궐기하라! image 김동렬 2003-07-16 14253
840 미래의 교육은?.. 김동렬 2003-07-15 13305
839 정치하는 원숭이 정대철 image 김동렬 2003-07-15 14972
838 군대가서 좋은 점 image 김동렬 2003-07-14 19377
837 노무현이 불안하다 image 김동렬 2003-07-14 16885
836 대철이형 어리버리 하다가 지뢰 밟았지! image 김동렬 2003-07-12 16290
835 정대철이 제꺽 물러나기 바란다. image 김동렬 2003-07-10 15232
834 한나라당 진화론 image 김동렬 2003-07-10 15386
833 한나라당 등신들의 머리 속에는 뭐가 들었을까? image 김동렬 2003-07-10 15451
832 해군 UDT 탈락 비관 20대 목숨끊어 김동렬 2003-07-10 21898
831 김홍신의원의 엉거주춤 image 김동렬 2003-07-09 15132
830 서프라이즈가 개혁을 견인할 수 있을꽈? image 김동렬 2003-07-09 15208
829 김홍신의원의 엉거주춤한 태도 image 김동렬 2003-07-09 15052
828 DJ신경망과 노무현 호르몬의 찰떡궁합보고서 image 김동렬 2003-07-09 14644
827 사덕이형 벌써 한건 했다며? image 김동렬 2003-07-09 14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