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5106 vote 0 2003.06.19 (00:03:48)

1996년 클린턴의 재선을 성공으로 이끈 선거참모 딕 모리스에 의하면, 클린턴의 승리는 민주당의 강경한 노선을 접고 공화당의 주장과 상당부분 절충한 중도회귀에 힘입었다고 한다.

정치는 타협의 기술이다. 항상 중도파가 승리하게 되어 있다. 이는 만고불변의 진리다. 그러나 처음부터 중도에 서 있던 회색분자가 승리한 예는 단 한번도 없다.

문제는 선거에 임하여 타협할 건수들을 얼마나 확보해두었느냐는 점과, 타협할 적절한 타이밍이다. 작년 대선에서 노무현은 정몽준 덕분에 저절로 타협과 중도회귀가 이루어졌는데 그 타협의 시점은 일반의 예상보다 훨씬 늦어졌다.

내년 총선에서 이겨야 노무현은 진짜 이나라의 대통령이 된다. 문제는 내년에 타협할 건수들을 지금 축적해놓지 않으면 안된다는 점이다. 정몽준과의 대타협도 선거 한달 남겨놓고 전격적으로 이루어졌듯이 노무현의 중도회귀는 늦을수록 좋다. 그러므로 지금은 만만한 조선일보라도 두들겨서 내년에 타협할 건수들을 벌어놓지 않으면 안된다.

한나라당은 두들겨주려해도 집안 꼴이 저래서 아직은 각을 세울 여지가 없다. 한나라당 두더쥐잡기는 저들의 대표경선 이후에나 가능한 일이고, 지금은 일단 동네북 조선일보라도 두들겨 보는 수 밖에 없다. 어쩌겠는가?

노무현은 두개의 전선을 가지고 있다. 하나는 지역주의와의 싸움이고, 하나는 권위주의와의 싸움이다. 일단 DJ와의 타협을 서둘러서 힘을 하나로 모은 다음에 한나라당 두더쥐를 잡는 것이 정석대로 가는 것이다.

싸움이 내년 4월이라면 6개월 정도 앞둔 올 10월~12월경에 한나라당과의 긴장을 최고도로 끌어올려야 한다. 3개월 정도 팽팽하게 가다가 서서히 긴장을 늦추어서 국민을 안심시킨 다음 선거로 들어가면 필승이다. 그렇다면 DJ와의 관계회복은 10월경까지는 이루어져야 한다.

정치는 타협의 예술이다. 그러나 타협하려는 의도를 내비치는 즉 타협은 수포로 돌아간다. 노무현은 승률높은 변호사 출신이어서 의도적으로 긴장을 높이므로서 상대방을 제풀에 나가떨어지게 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 그게 뚝심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1038 메커니즘이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7-07-27 15008
1037 노무현대통령께 감사한다 김동렬 2004-09-06 15010
1036 국정조사권 발동 및 특별검사 임명해야 김동렬 2005-07-26 15012
1035 이건희 무엇을 잘못했나? 김동렬 2005-05-07 15023
1034 노무현사령부 작전계획 - 부산상륙작전 image 김동렬 2002-10-30 15025
1033 미학으로 확 바꿔라 6 김동렬 2009-10-06 15027
1032 이런저런 이야기 김동렬 2008-11-30 15029
1031 이명박 쿠데타 순항중 김동렬 2005-03-02 15030
1030 화두는 그림이다 image 김동렬 2008-11-29 15031
1029 이문열의 인간실격 김동렬 2005-03-02 15035
1028 김원웅 뭐하러 오나? 김동렬 2002-11-24 15036
1027 TV토론만 하면,... 한숨맨 2002-09-27 15037
1026 전인권을 생각하며 김동렬 2005-06-29 15038
1025 존재가 의식을 규정한다. image 김동렬* 2012-10-21 15042
1024 『전쟁중독』 image 김동렬 2003-04-02 15045
1023 예견할 수 있다 김동렬 2008-06-19 15046
1022 신기남, 정동영, 천정배, 임종석 4인방이 대한민국을 접수한다 image 김동렬 2003-05-14 15049
1021 이건 음모다!! 김대현 2002-11-18 15050
1020 열린세계관으로 비약하라 2 김동렬 2010-02-09 15055
1019 푸앙카레의 추측과 구조진화론 image 6 김동렬 2010-08-16 15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