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7]현강
read 1198 vote 0 2020.07.25 (11:31:56)

뭔가에 외력을 가하면 그 뭔가의 안에서의 관계쌍에 따라 외력이 처리되어 결과를 내놓는다. 두 남녀가 있다면 둘이 무슨 관계인지는 불확정적이다. 그런데 관측자인 내가 여자한테 가서 말을 거는 외력을 가한다고 치자.

옆에 있던 남자가 같이 주의를 기울인다는 결과를 보인다면 이 둘이 서로 아는 관계였음을 추론할 수 있다. 이번엔 관측자인 내가 둘 중 한명에게 대쉬를 하는 외력을 가한다. 이때 옆에서 다른 한명이 연동되는 결과값이 나온다면?

그 둘이 연인관계임을 추론할 수 있다. 혹은 다른 한 명이 연동되지 않는 정보값이 나온다면 그 둘이 연인관계는 아님을 추론할 수 있다. 그런데 나한테 대쉬를 받은 여자가 멀뚱멀뚱 있던 남자에게 이럴거면 썸타지 말자는 신호를 보낸다면?

이 대목이 키포인트다. 둘 사이 라인과 외력과의 관계는 둘 사이로 복제된다. 둘 사이 라인이 연인이냐 썸이냐 그냥 지인이냐에 따라 외력인 나의 추근댐과의 관계가 설정되는 것이 사건의 시작이다.

이러한 계외부와 내부 간 상부구조의 관계가 계 내부 하부구조 남녀 라인을 타고 복제된다. 최종적으로 남자가 화를 내든 가만히 서있든 그러다가 여자에게 핀잔을 듣든 하는 식으로 량이라는 정보가 배출된다.

즉 둘 사이 라인은 외력이 가해져서 정보를 토해내기 전까지 서로에 대하여 불확정적인 관계이다. 다만 최초 외력과 계의 대칭 단계에서 이미 최후 배출되는 량은 확정된다. 설사 연인관계였더라도 대쉬 받는 애인을 두고 멀뚱멀뚱 한다면?

그 순간 관계를 쫑나고 남남사이로 강등되어버린다. 구조론에서 강조하는 라인은 한 번 개설하면 천년만년 가는 것이 아니라 상시 긴밀하게 유지되어야 작동한다. 이에 주체성이 요구된다. 계 내부의 둘은 사이 관계를 기준으로 쌍으로 성립한다.

그 이전에 계 내부 관계와 외부 외력은 사이 계를 기준으로 쌍으로 성립한다. 관계가 하부구조를 통제하려면 먼저 그 관계는 외력에 대하여 팔팔하게 살아있어야 한다는 게 상부구조이며 추론의 근거다. 이게 이렇게 변할 때 저게 저렇게 변하는 연동 비율이 관계의 긴밀함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709
2107 스타벅스는 커피를 팔지 않는다 image 3 냥모 2013-02-11 9913
2106 고수와 하수 김동렬 2006-03-02 9905
2105 삼국지의 비애 image 3 김동렬 2014-10-02 9875
2104 직업이란 무엇인가 - 허무한 스펙 쌓기에 빠지지 마시라 2 ░담 2010-08-27 9826
2103 디자인이란 무엇인가? image 12 김동렬 2013-11-24 9807
2102 남북전쟁이 일어난 이유 image 4 김동렬 2013-03-28 9798
2101 후성유전학: 유전자가 변화한다고라? 2 오세 2009-12-07 9754
2100 타짜 아니면 호구 image 1 양을 쫓는 모험 2010-08-16 9691
2099 질문 - 마찰열에 의해 불이 붙는 이유는? 10 김동렬 2013-01-27 9683
2098 이중구속, 엄마의 의도는? 22 김동렬 2013-09-08 9604
2097 아랍어는 왜 거꾸로 쓸까? image 김동렬 2016-04-21 9589
2096 돈과 시간의 방정식 image 4 양을 쫓는 모험 2010-03-12 9504
2095 카스트 제도 비극의 원인은? 22 김동렬 2013-08-04 9493
2094 중력에 대한 새로운 이론 image 7 김동렬 2010-07-14 9487
2093 혈액형별 유명 운동선수 비율 image 4 김동렬 2012-04-03 9464
2092 화내는 습관 고쳐질까? 24 김동렬 2013-10-30 9377
2091 의견을 구하오. image 52 김동렬 2013-02-03 9327
2090 문명과 대중 그리고 지식 송파노을 2006-03-01 9267
2089 전기로 물을 염색해보려고 해요... 강도 2006-05-17 9253
2088 굿을 어떻게 이해할수 있을까요? 1 프로메테우스 2006-03-19 9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