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jDb8wGs1CLA&feature=youtu.be
사람은 어떻게든 집단과 연결되어 있으려고 한다. 연결상태를 끊지 못하므로 사기를 당한다. 좋은 집단과 연결하고 나쁜 집단과는 연결을 끊어야 한다. 자존감을 키우고 독립적인 의사결정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 청소년은 연결을 끊고 새로 사귀고 하는게 쉽지만 나이가 들면 연결을 끊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사건이 기승전을 거쳐 결 단계에 이르면 연결을 끊는다는 것은 자기 인생을 송두리째 부정하는 결과로 되기 때문이다. 살고 싶지 않다는 느낌이 든다. 계속 연결상태를 유지하면 수렁에서 탈출할 수 없다. 자존감을 키우고 엘리트의식을 가지고 집단을 책임지는 리더의 자세를 가져야 한다. 결정적으로 속지 않을 마음을 먹어야 속지 않는다. 의사결정을 포기하면 무조건 속는다.

![포인트:11644point (36%), 레벨:11/30 [레벨:11]](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1.gif)
![포인트:19734point (80%), 레벨:14/30 [레벨:14]](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4.gif)
사기-사건에서?
사기를 친 자가 반드시 있을 것이고
사기 당한 자? 사이의 거래, 유혹, 꾀임 등이 있었을 텐데---
이 경우
제 3자 가 볼 때는
사기를 친 자 는 물론
사기를 당한 자
이 둘을
동격으로 [부당한 이득을 서로----추구한 면에 있어]
취급을 합니다.
그러므로
사기를 당한 자 에게, 그 어떤, 손해-배상은 없습니다.
사기 친 놈은 그것에 대한 형을 살면 그만-입니다.
사기 당한 자는-- 후회는 물론, 스스로 반성만 하면 되는 것이고,
그런데
한번 당한 자는----대체로
또 당합니다.
왜냐?
"부당한 이익"에 사로잡혀 있기 때문이지요.
그냥
"놀고, 먹자"는 인이
깊이--박혀 있습니다.

![포인트:15997point (32%), 레벨:13/30 [레벨:13]](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3.gif)
사기를 치는 사람 VS 사기를 당하는 사람
자본주의의 부작용! 당신도 궁하면 사기를 친다.
심리적이든 물리적이든 사람이 사기를 친다.
https://news.v.daum.net/v/20200703131109078
검사들처럼 감독과 선배에게 복종하지 않으면 안되는 시스템인데 이 경우엔 어떻게 해야할까요? 스포츠계도 동기들이 있지만 별로 도움이 안되는 것 같습니다.
시청이나 문체부와 같은 외부에서 감시하고 간섭해야 할텐데 신고나 진정을 했어도 소용없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