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5]오민규
read 1237 vote 0 2020.06.27 (14:48:00)

다른 학문을 블랙홀처럼 빨아들이는 블랙홀 학문이 있다. 철학이 예전에는 학문 그 자체를 나타내는 말이었지만 지금은 인문학의 귀퉁이로 축소되었듯이 말이다. 철학의 세부 분야였던 학문들이 철학을 잡아먹은 것이다. 그것이 학문의 발전 과정이다. 학문이 처음 만들어지고 발전 과정을 거치면서 다른 학문의 영역을 침범할 수 있다. 정확히는 '철학'을 침범한 것이다. 예를 들어 마르크스주의는 기존 경제학의 '자본의 영속성' 철학과 전혀 다른 것이다. 그것은 학자 개인의 삶의 철학과도 맞닿아있다. 그들은 삶의 방향 자체가 달라서 같은 학문에서 서로 절대 공존할 수 없는 존재다. 이런 상황에서 학문적 무리수가 난무하는 전쟁이 일어나는 것이다. 이 때 학문의 발전 속도가 가장 빠르다. 전쟁이 끝난 후 학문의 학파들은 서로 합의 과정을 거치면서 흐물흐물해진다. 상대주의로 가는 것이다. 상대주의로 가면 언어를 합의할 수 없게 되고 결과적으로 전대의 것을 수정할 수 없게 된다. 후대의 성과는 전대의 것과 호환되지 않으니 언어가 지리멸렬해진다. 학문의 유입이 끊기고 발전은 지체된다. 학문의 엔진이 꺼지는 것이다. 그리고 그들만의 리그가 된다.


그러므로 학문은 싱싱할 때 취해야 한다. 철학이 뒤섞여 있지 않고 학문을 연구하는 사람들의 성향이 균일해야 한다. 그것은 학문의 어떤 세부분야이고 뜨는 분야다. 뒤섞이기 직전에 있는 분야다. 그곳의 언어를 가져와야 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수원나그네

2020.06.27 (16:04:31)

글쓰기는 그 얘기를 읽은 사람이 다른 사람에 전파하는 흐름이 이루어지는 것까지는 가야 하오.

그게 어려우면 이 사람이 무슨 생각으로 이런 얘기를 썼는가에 대한 개념까지는 이해할 수 있어야 하지요..

그렇지 않으면 눈만 어지럽힐뿐..

[레벨:15]오민규

2020.06.28 (08:26:18)

제가 설명이 부족했네요. 언어의 통합에 대해서 생각하다가 쓴 글입니다. 어떤 학문의 언어가 신뢰할 수 있는지 알아내야 했죠. 그런 관점에서 쓴 글입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622
626 이것이 불편한 진실 image 7 김동렬 2013-09-30 4620
625 관계와 소통 완벽정리 1 기준님하 2009-07-21 4621
624 사람들의 화난 표정이 똑같은 이유 김동렬 2014-09-03 4624
623 아래 댓글이 넘 길어..... image 20 지여 2011-01-13 4630
622 팔로워 낚시용 유치한 글 7 김동렬 2013-11-07 4635
621 토론의 차원 7 통나무 2009-07-14 4640
620 야만. 2 오세 2010-02-10 4654
619 1만 5천년 된 언어 image 3 김동렬 2013-05-13 4654
618 인간의 진화는 유전자를 잃어버리는 과정? 9 김동렬 2011-07-04 4655
617 전쟁의 기술. 3 오세 2010-04-13 4656
616 김동렬님께 1 읍내리 2009-04-10 4656
615 프랑스 vs 한국, 갑을&가피 매트릭스 담 |/_ 2013-11-15 4656
614 CBDC와 암호화폐 7 이금재. 2021-05-27 4660
613 운명과 자유의지 3 김동렬 2014-01-07 4664
612 아무님의 교육 5단계론에 대한 생각. 3 르페 2009-01-11 4665
611 임금진화론 image 3 김동렬 2015-09-14 4665
610 구조론 옷입히기. 3 아제 2010-02-02 4666
609 사도세자는 과연 뒤주에 갇혀 죽었는가? image 6 김동렬 2018-01-16 4668
608 이덕일이 나쁜 놈이다. 3 김동렬 2015-10-01 4671
607 왜 주몽은 투먼인가? image 김동렬 2016-07-28 46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