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5]오민규
read 1285 vote 0 2020.06.27 (14:48:00)

다른 학문을 블랙홀처럼 빨아들이는 블랙홀 학문이 있다. 철학이 예전에는 학문 그 자체를 나타내는 말이었지만 지금은 인문학의 귀퉁이로 축소되었듯이 말이다. 철학의 세부 분야였던 학문들이 철학을 잡아먹은 것이다. 그것이 학문의 발전 과정이다. 학문이 처음 만들어지고 발전 과정을 거치면서 다른 학문의 영역을 침범할 수 있다. 정확히는 '철학'을 침범한 것이다. 예를 들어 마르크스주의는 기존 경제학의 '자본의 영속성' 철학과 전혀 다른 것이다. 그것은 학자 개인의 삶의 철학과도 맞닿아있다. 그들은 삶의 방향 자체가 달라서 같은 학문에서 서로 절대 공존할 수 없는 존재다. 이런 상황에서 학문적 무리수가 난무하는 전쟁이 일어나는 것이다. 이 때 학문의 발전 속도가 가장 빠르다. 전쟁이 끝난 후 학문의 학파들은 서로 합의 과정을 거치면서 흐물흐물해진다. 상대주의로 가는 것이다. 상대주의로 가면 언어를 합의할 수 없게 되고 결과적으로 전대의 것을 수정할 수 없게 된다. 후대의 성과는 전대의 것과 호환되지 않으니 언어가 지리멸렬해진다. 학문의 유입이 끊기고 발전은 지체된다. 학문의 엔진이 꺼지는 것이다. 그리고 그들만의 리그가 된다.


그러므로 학문은 싱싱할 때 취해야 한다. 철학이 뒤섞여 있지 않고 학문을 연구하는 사람들의 성향이 균일해야 한다. 그것은 학문의 어떤 세부분야이고 뜨는 분야다. 뒤섞이기 직전에 있는 분야다. 그곳의 언어를 가져와야 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수원나그네

2020.06.27 (16:04:31)

글쓰기는 그 얘기를 읽은 사람이 다른 사람에 전파하는 흐름이 이루어지는 것까지는 가야 하오.

그게 어려우면 이 사람이 무슨 생각으로 이런 얘기를 썼는가에 대한 개념까지는 이해할 수 있어야 하지요..

그렇지 않으면 눈만 어지럽힐뿐..

[레벨:15]오민규

2020.06.28 (08:26:18)

제가 설명이 부족했네요. 언어의 통합에 대해서 생각하다가 쓴 글입니다. 어떤 학문의 언어가 신뢰할 수 있는지 알아내야 했죠. 그런 관점에서 쓴 글입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795
1715 툭. -아제 관리자* 2012-10-21 2803
1714 가지치기 -부하지하 관리자* 2012-10-21 3234
1713 묶기,옮기기,풀기. -아제 관리자* 2012-10-21 2913
1712 싸이도 김기덕도 정답이 아니다 -오세 image 관리자* 2012-10-21 3488
1711 구조가 느껴지는것 같다. -soul 관리자* 2012-10-21 3489
1710 대한민국, 존엄의 자궁을 만들다. -담 관리자* 2012-10-21 2905
1709 문재인과 문재인들은, 비선출 권력을 민주화하라. -담 관리자* 2012-10-21 3039
1708 애니팡 피할 수 있을까? -담 관리자* 2012-10-21 2994
1707 한 700억 쯤 한가하게 살 수 있다면 -담 관리자* 2012-10-21 2933
1706 家族하라. - 아제 관리자* 2012-10-21 2749
1705 "애니팡 하트시스템" 이거 재미있다. -담 관리자* 2012-10-21 4718
1704 둘 과 셋 -지여 관리자* 2012-10-21 2874
1703 차 한잔 어떻소. -아제 관리자* 2012-10-21 3102
1702 소집의 종소리. -아제 관리자* 2012-10-21 2895
1701 정보기반 문명이란 깨달음의 계절이다, 혁명의 일상화다 -담 1 관리자* 2012-10-21 3503
1700 쌈지뜨면 지나니.. 1 아제 2012-10-22 3324
1699 정보문화콘텐츠 생산 지원 시스템 ░담 2012-10-26 3042
1698 김기덕이 영화 "아리랑"으로 한 일 2 ░담 2012-10-26 3938
1697 21세기의 민족 image 눈내리는 마을 2012-10-27 2825
1696 민 놈이 진짜다. 2 아제 2012-10-28 3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