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774 vote 0 2020.06.14 (16:51:33)

      

    구조의 발견 2


    세상을 일원적으로 이해한다면 행복하다. 큰 가닥을 잡아버리면 편하다. 나머지는 술술 풀린다. 한 방향으로 계속 전진할 수 있다. 되돌아볼 이유가 없으므로 속도를 낼 수 있다. 세상은 메커니즘이다. 모든 존재는 메커니즘의 존재다. 정지해 있는 것은 나란한 것이다.


    정지한 사물도 관측자와 상호작용 하는 점에서 메커니즘이 숨어 있다. 나는 열 살 때 이 사실을 발견했다. 이후 숨돌릴 틈 없이 한 방향으로 계속 전진해 왔다. 메커니즘 안에는 구조가 숨어 있다. 구조는 시계의 부품 앵커와 같다. 앵커는 닻인데 시계의 핵심부품이다.


    배의 닻처럼 T자 모양으로 생긴게 시계추처럼 왕복하며 방향을 바꾼다. 1로 2의 역할을 한다. 모든 매커니즘에는 이런게 반드시 있다. 둘 사이에도 접점에 그런게 있다. 그것은 각이다. 세상은 각이다. 구조는 각이고 각은 의사결정한다. 세상은 의사결정으로 모두 설명된다.


    매커니즘은 둘이 연결되어 이것이 움직이면 저것이 따라서 움직이는 것이다. 그 이것과 저것 사이에 구조가 있다. 구조는 의사결정한다. 왜인가? 에너지가 태워져 있기 때문이다. 그 에너지가 작동하는 범위가 계다. 메커니즘과 구조가 갖추어지면 에너지를 태울 수 있다.


    황소 등에 짐을 실을 수 있다. 그런 구조가 있어야 한다. 비로소 세상이 작동한다. 에너지를 태울 수 있어야 한다. 속도조절이 가능해야 한다. 조절되지 않는 것들도 있지 않을까? 두 가지다. 하나는 빠져나가는 것이며 하나는 잠시 유지되는 것이다. 빠져나가는 것은 정보다.


    잠시 유지되는 것은 운동이다. 세상은 량과 정보의 눈에 보이는 것, 운동과 시간의 변하는 것, 구조와 공간의 의사결정하는것, 메커니즘과 물질의 대칭구조, 계와 에너지의 사건으로 전부 설명된다. 풍선효과와 같다. 이곳에 없는 것은 저곳에 있다. 이곳과 저곳사이다.


    에너지 - 계와 사건
    물질 - 메커니즘, 축과 대칭
    공간 - 구조와 의사결정
    시간 - 운동과 변화
    정보 - 량과 정보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20.06.15 (15:20:29)

"큰 가닥을 잡아버리면 편하다. 나머지는 술술 풀린다."

http://gujoron.com/xe/1211052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548
4879 의리의 김어준과 배신의 진중권 1 김동렬 2020-07-17 3340
4878 첨단과 극단과 사단 1 김동렬 2020-07-16 3493
4877 이재명 죽이기 실패 1 김동렬 2020-07-16 3810
4876 얼치기 페미는 가라 1 김동렬 2020-07-16 3481
4875 노답자매 배현진중권 1 김동렬 2020-07-15 3519
4874 공자의 술이부작과 온고지신 1 김동렬 2020-07-14 3340
4873 박원순, 진중권, 배현진, 류호정 2 김동렬 2020-07-14 3732
4872 민도가 천도다 4 김동렬 2020-07-12 4123
4871 정의당의 배반 1 김동렬 2020-07-11 4020
4870 박원순 죽이기 2 김동렬 2020-07-11 3987
4869 대칭과 비대칭 3 김동렬 2020-07-10 3085
4868 박원순과 살인 기레기들 7 김동렬 2020-07-10 4640
4867 스티브 잡스는 선악이 없다 1 김동렬 2020-07-08 3835
4866 일원론이 핵심이다 3 김동렬 2020-07-07 3415
4865 율곡과 퇴계 1 김동렬 2020-07-06 3540
4864 부동산 문제의 진실 6 김동렬 2020-07-05 4293
4863 레깅스와 관료주의 1 김동렬 2020-07-05 3074
4862 박지원과 윤석열의 대결투 2 김동렬 2020-07-05 3845
4861 사회주의란 무엇인가? 3 김동렬 2020-07-03 3550
4860 인간은 왜 사기를 당하는가? 4 김동렬 2020-07-02 3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