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751 vote 0 2020.06.14 (16:51:33)

      

    구조의 발견 2


    세상을 일원적으로 이해한다면 행복하다. 큰 가닥을 잡아버리면 편하다. 나머지는 술술 풀린다. 한 방향으로 계속 전진할 수 있다. 되돌아볼 이유가 없으므로 속도를 낼 수 있다. 세상은 메커니즘이다. 모든 존재는 메커니즘의 존재다. 정지해 있는 것은 나란한 것이다.


    정지한 사물도 관측자와 상호작용 하는 점에서 메커니즘이 숨어 있다. 나는 열 살 때 이 사실을 발견했다. 이후 숨돌릴 틈 없이 한 방향으로 계속 전진해 왔다. 메커니즘 안에는 구조가 숨어 있다. 구조는 시계의 부품 앵커와 같다. 앵커는 닻인데 시계의 핵심부품이다.


    배의 닻처럼 T자 모양으로 생긴게 시계추처럼 왕복하며 방향을 바꾼다. 1로 2의 역할을 한다. 모든 매커니즘에는 이런게 반드시 있다. 둘 사이에도 접점에 그런게 있다. 그것은 각이다. 세상은 각이다. 구조는 각이고 각은 의사결정한다. 세상은 의사결정으로 모두 설명된다.


    매커니즘은 둘이 연결되어 이것이 움직이면 저것이 따라서 움직이는 것이다. 그 이것과 저것 사이에 구조가 있다. 구조는 의사결정한다. 왜인가? 에너지가 태워져 있기 때문이다. 그 에너지가 작동하는 범위가 계다. 메커니즘과 구조가 갖추어지면 에너지를 태울 수 있다.


    황소 등에 짐을 실을 수 있다. 그런 구조가 있어야 한다. 비로소 세상이 작동한다. 에너지를 태울 수 있어야 한다. 속도조절이 가능해야 한다. 조절되지 않는 것들도 있지 않을까? 두 가지다. 하나는 빠져나가는 것이며 하나는 잠시 유지되는 것이다. 빠져나가는 것은 정보다.


    잠시 유지되는 것은 운동이다. 세상은 량과 정보의 눈에 보이는 것, 운동과 시간의 변하는 것, 구조와 공간의 의사결정하는것, 메커니즘과 물질의 대칭구조, 계와 에너지의 사건으로 전부 설명된다. 풍선효과와 같다. 이곳에 없는 것은 저곳에 있다. 이곳과 저곳사이다.


    에너지 - 계와 사건
    물질 - 메커니즘, 축과 대칭
    공간 - 구조와 의사결정
    시간 - 운동과 변화
    정보 - 량과 정보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20.06.15 (15:20:29)

"큰 가닥을 잡아버리면 편하다. 나머지는 술술 풀린다."

http://gujoron.com/xe/1211052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5221
6872 구조론 동영상 1 김동렬 2010-03-22 196965
6871 LK99 과학 사기단 image 김동렬 2023-08-07 71465
6870 진보와 보수 2 김동렬 2013-07-18 58598
6869 진화에서 진보로 3 김동렬 2013-12-03 58486
6868 '돈오'와 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3-01-17 56421
6867 소통의 이유 image 4 김동렬 2012-01-19 55825
6866 신은 쿨한 스타일이다 image 13 김동렬 2013-08-15 55370
6865 관계를 창의하라 image 1 김동렬 2012-10-29 49025
6864 답 - 이태리가구와 북유럽가구 image 8 김동렬 2013-01-04 45889
6863 독자 제위께 - 사람이 다르다. image 17 김동렬 2012-03-28 45087
6862 청포도가 길쭉한 이유 image 3 김동렬 2012-02-21 42552
6861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image 3 김동렬 2012-11-27 42409
6860 구조론교과서를 펴내며 image 3 김동렬 2017-01-08 42302
6859 아줌마패션의 문제 image 12 김동렬 2009-06-10 42133
6858 포지션의 겹침 image 김동렬 2011-07-08 41587
6857 정의와 평등 image 김동렬 2013-08-22 41204
6856 비대칭의 제어 김동렬 2013-07-17 39238
6855 구조론의 이해 image 6 김동렬 2012-05-03 39217
6854 비판적 긍정주의 image 6 김동렬 2013-05-16 38326
6853 세상은 철학과 비철학의 투쟁이다. 7 김동렬 2014-03-18 378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