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727 vote 0 2020.06.14 (16:51:33)

      

    구조의 발견 2


    세상을 일원적으로 이해한다면 행복하다. 큰 가닥을 잡아버리면 편하다. 나머지는 술술 풀린다. 한 방향으로 계속 전진할 수 있다. 되돌아볼 이유가 없으므로 속도를 낼 수 있다. 세상은 메커니즘이다. 모든 존재는 메커니즘의 존재다. 정지해 있는 것은 나란한 것이다.


    정지한 사물도 관측자와 상호작용 하는 점에서 메커니즘이 숨어 있다. 나는 열 살 때 이 사실을 발견했다. 이후 숨돌릴 틈 없이 한 방향으로 계속 전진해 왔다. 메커니즘 안에는 구조가 숨어 있다. 구조는 시계의 부품 앵커와 같다. 앵커는 닻인데 시계의 핵심부품이다.


    배의 닻처럼 T자 모양으로 생긴게 시계추처럼 왕복하며 방향을 바꾼다. 1로 2의 역할을 한다. 모든 매커니즘에는 이런게 반드시 있다. 둘 사이에도 접점에 그런게 있다. 그것은 각이다. 세상은 각이다. 구조는 각이고 각은 의사결정한다. 세상은 의사결정으로 모두 설명된다.


    매커니즘은 둘이 연결되어 이것이 움직이면 저것이 따라서 움직이는 것이다. 그 이것과 저것 사이에 구조가 있다. 구조는 의사결정한다. 왜인가? 에너지가 태워져 있기 때문이다. 그 에너지가 작동하는 범위가 계다. 메커니즘과 구조가 갖추어지면 에너지를 태울 수 있다.


    황소 등에 짐을 실을 수 있다. 그런 구조가 있어야 한다. 비로소 세상이 작동한다. 에너지를 태울 수 있어야 한다. 속도조절이 가능해야 한다. 조절되지 않는 것들도 있지 않을까? 두 가지다. 하나는 빠져나가는 것이며 하나는 잠시 유지되는 것이다. 빠져나가는 것은 정보다.


    잠시 유지되는 것은 운동이다. 세상은 량과 정보의 눈에 보이는 것, 운동과 시간의 변하는 것, 구조와 공간의 의사결정하는것, 메커니즘과 물질의 대칭구조, 계와 에너지의 사건으로 전부 설명된다. 풍선효과와 같다. 이곳에 없는 것은 저곳에 있다. 이곳과 저곳사이다.


    에너지 - 계와 사건
    물질 - 메커니즘, 축과 대칭
    공간 - 구조와 의사결정
    시간 - 운동과 변화
    정보 - 량과 정보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20.06.15 (15:20:29)

"큰 가닥을 잡아버리면 편하다. 나머지는 술술 풀린다."

http://gujoron.com/xe/1211052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0401
1886 쿨하다는 것 2 김동렬 2008-03-02 15715
1885 쿨하다는 것 김동렬 2008-03-01 15220
1884 구조론의 의미 김동렬 2008-02-28 11601
1883 구조론의 탄생 김동렬 2008-02-27 11077
1882 구조론과 결정론 김동렬 2008-02-26 15504
1881 구조는 통합형의 모형을 제시한다 김동렬 2008-02-23 13439
1880 아래에 추가 김동렬 2008-02-23 13452
1879 달마실이 가는 길 김동렬 2008-02-20 10799
1878 세 가지 깨달음에 대해 김동렬 2008-02-20 14134
1877 손가락이 다섯인 이유 김동렬 2008-02-19 13809
1876 구조론 총론 김동렬 2008-02-13 12125
1875 철학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8-02-10 16158
1874 소통의 부재 김동렬 2008-02-06 14975
1873 알지 못하는 사람에게 김동렬 2008-02-02 16473
1872 미라이 공업의 경우 김동렬 2008-02-01 16797
1871 글쓰기와 글읽기 김동렬 2008-01-31 13417
1870 깨달음 세상 사람들 김동렬 2008-01-28 14350
1869 부조리에 대해서 김동렬 2008-01-27 13199
1868 구조의 대개 김동렬 2008-01-24 10601
1867 구조의 일방향성 김동렬 2008-01-22 148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