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730 vote 0 2020.06.14 (16:51:33)

      

    구조의 발견 2


    세상을 일원적으로 이해한다면 행복하다. 큰 가닥을 잡아버리면 편하다. 나머지는 술술 풀린다. 한 방향으로 계속 전진할 수 있다. 되돌아볼 이유가 없으므로 속도를 낼 수 있다. 세상은 메커니즘이다. 모든 존재는 메커니즘의 존재다. 정지해 있는 것은 나란한 것이다.


    정지한 사물도 관측자와 상호작용 하는 점에서 메커니즘이 숨어 있다. 나는 열 살 때 이 사실을 발견했다. 이후 숨돌릴 틈 없이 한 방향으로 계속 전진해 왔다. 메커니즘 안에는 구조가 숨어 있다. 구조는 시계의 부품 앵커와 같다. 앵커는 닻인데 시계의 핵심부품이다.


    배의 닻처럼 T자 모양으로 생긴게 시계추처럼 왕복하며 방향을 바꾼다. 1로 2의 역할을 한다. 모든 매커니즘에는 이런게 반드시 있다. 둘 사이에도 접점에 그런게 있다. 그것은 각이다. 세상은 각이다. 구조는 각이고 각은 의사결정한다. 세상은 의사결정으로 모두 설명된다.


    매커니즘은 둘이 연결되어 이것이 움직이면 저것이 따라서 움직이는 것이다. 그 이것과 저것 사이에 구조가 있다. 구조는 의사결정한다. 왜인가? 에너지가 태워져 있기 때문이다. 그 에너지가 작동하는 범위가 계다. 메커니즘과 구조가 갖추어지면 에너지를 태울 수 있다.


    황소 등에 짐을 실을 수 있다. 그런 구조가 있어야 한다. 비로소 세상이 작동한다. 에너지를 태울 수 있어야 한다. 속도조절이 가능해야 한다. 조절되지 않는 것들도 있지 않을까? 두 가지다. 하나는 빠져나가는 것이며 하나는 잠시 유지되는 것이다. 빠져나가는 것은 정보다.


    잠시 유지되는 것은 운동이다. 세상은 량과 정보의 눈에 보이는 것, 운동과 시간의 변하는 것, 구조와 공간의 의사결정하는것, 메커니즘과 물질의 대칭구조, 계와 에너지의 사건으로 전부 설명된다. 풍선효과와 같다. 이곳에 없는 것은 저곳에 있다. 이곳과 저곳사이다.


    에너지 - 계와 사건
    물질 - 메커니즘, 축과 대칭
    공간 - 구조와 의사결정
    시간 - 운동과 변화
    정보 - 량과 정보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20.06.15 (15:20:29)

"큰 가닥을 잡아버리면 편하다. 나머지는 술술 풀린다."

http://gujoron.com/xe/1211052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0629
6846 강형욱과 집단 정신병 김동렬 2024-05-23 1251
6845 원효의 깨달음 김동렬 2024-05-22 1028
6844 엘리트와 비엘리트 김동렬 2024-05-22 1267
6843 윤석열 김흥국 김병만 강형욱 3 김동렬 2024-05-21 1575
6842 나쁜 개는 있다 김동렬 2024-05-21 1208
6841 지구를 지켜라의 멸망 원인 김동렬 2024-05-20 1017
6840 지도로갈문왕 수수께끼 image 김동렬 2024-05-20 906
6839 지식의 원점 김동렬 2024-05-20 653
6838 이찬종 알파독이론과 강형욱 카밍시그널 2 김동렬 2024-05-19 1372
6837 광개토대왕비의 진실 4 김동렬 2024-05-18 1250
6836 자명한 진실 김동렬 2024-05-18 1047
6835 불닭볶음면과 황교익 3 김동렬 2024-05-17 1546
6834 석가의 의미 김동렬 2024-05-16 1035
6833 첫 만남 김동렬 2024-05-16 932
6832 대란대치 윤석열 1 김동렬 2024-05-16 1328
6831 석가의 방문 김동렬 2024-05-15 1186
6830 윤암 수술법 김동렬 2024-05-14 1205
6829 다르마를 따르라 1 김동렬 2024-05-14 924
6828 신라 마립간은 무엇인가? 2 김동렬 2024-05-14 811
6827 전쟁과 인간 김동렬 2024-05-13 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