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846 vote 0 2020.06.14 (16:51:33)

      

    구조의 발견 2


    세상을 일원적으로 이해한다면 행복하다. 큰 가닥을 잡아버리면 편하다. 나머지는 술술 풀린다. 한 방향으로 계속 전진할 수 있다. 되돌아볼 이유가 없으므로 속도를 낼 수 있다. 세상은 메커니즘이다. 모든 존재는 메커니즘의 존재다. 정지해 있는 것은 나란한 것이다.


    정지한 사물도 관측자와 상호작용 하는 점에서 메커니즘이 숨어 있다. 나는 열 살 때 이 사실을 발견했다. 이후 숨돌릴 틈 없이 한 방향으로 계속 전진해 왔다. 메커니즘 안에는 구조가 숨어 있다. 구조는 시계의 부품 앵커와 같다. 앵커는 닻인데 시계의 핵심부품이다.


    배의 닻처럼 T자 모양으로 생긴게 시계추처럼 왕복하며 방향을 바꾼다. 1로 2의 역할을 한다. 모든 매커니즘에는 이런게 반드시 있다. 둘 사이에도 접점에 그런게 있다. 그것은 각이다. 세상은 각이다. 구조는 각이고 각은 의사결정한다. 세상은 의사결정으로 모두 설명된다.


    매커니즘은 둘이 연결되어 이것이 움직이면 저것이 따라서 움직이는 것이다. 그 이것과 저것 사이에 구조가 있다. 구조는 의사결정한다. 왜인가? 에너지가 태워져 있기 때문이다. 그 에너지가 작동하는 범위가 계다. 메커니즘과 구조가 갖추어지면 에너지를 태울 수 있다.


    황소 등에 짐을 실을 수 있다. 그런 구조가 있어야 한다. 비로소 세상이 작동한다. 에너지를 태울 수 있어야 한다. 속도조절이 가능해야 한다. 조절되지 않는 것들도 있지 않을까? 두 가지다. 하나는 빠져나가는 것이며 하나는 잠시 유지되는 것이다. 빠져나가는 것은 정보다.


    잠시 유지되는 것은 운동이다. 세상은 량과 정보의 눈에 보이는 것, 운동과 시간의 변하는 것, 구조와 공간의 의사결정하는것, 메커니즘과 물질의 대칭구조, 계와 에너지의 사건으로 전부 설명된다. 풍선효과와 같다. 이곳에 없는 것은 저곳에 있다. 이곳과 저곳사이다.


    에너지 - 계와 사건
    물질 - 메커니즘, 축과 대칭
    공간 - 구조와 의사결정
    시간 - 운동과 변화
    정보 - 량과 정보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20.06.15 (15:20:29)

"큰 가닥을 잡아버리면 편하다. 나머지는 술술 풀린다."

http://gujoron.com/xe/1211052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523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323
931 국뽕 걷어내고 한산의 실력은? 김동렬 2022-08-01 4173
930 제대로 하자. 대한민국 image 1 김동렬 2022-08-02 4217
929 진중권 김종인 안철수 심상정 이준석 오적 김동렬 2022-08-03 4027
928 힘을 이해하자 김동렬 2022-08-03 3644
927 한국이 인류의 희망이다 1 김동렬 2022-08-03 4440
926 조선일보 양상훈의 윤석열 심기관리 김동렬 2022-08-04 4549
925 이재명의 실책 1 김동렬 2022-08-06 4266
924 이재명이 사는 법 2 김동렬 2022-08-06 4401
923 윤석열 죽음의 게임 김동렬 2022-08-07 4313
922 구조론의 적 1 김동렬 2022-08-07 4182
921 신은 누구인가? 3 김동렬 2022-08-08 4482
920 자연과 권력 김동렬 2022-08-09 3819
919 김건희 이준석 수수께끼는 풀렸다 김동렬 2022-08-10 4471
918 폰트롤타워 윤석열 1 김동렬 2022-08-10 4590
917 질서도의 우위 김동렬 2022-08-11 4040
916 이것이 윤석열 효과 image 1 김동렬 2022-08-12 4478
915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22-08-12 4690
914 이준석의 몰락 김동렬 2022-08-13 4746
913 긍정어법 1 김동렬 2022-08-14 4632
912 생즉사 사즉사 이준석 2 김동렬 2022-08-15 48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