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779 vote 0 2020.06.14 (16:51:33)

      

    구조의 발견 2


    세상을 일원적으로 이해한다면 행복하다. 큰 가닥을 잡아버리면 편하다. 나머지는 술술 풀린다. 한 방향으로 계속 전진할 수 있다. 되돌아볼 이유가 없으므로 속도를 낼 수 있다. 세상은 메커니즘이다. 모든 존재는 메커니즘의 존재다. 정지해 있는 것은 나란한 것이다.


    정지한 사물도 관측자와 상호작용 하는 점에서 메커니즘이 숨어 있다. 나는 열 살 때 이 사실을 발견했다. 이후 숨돌릴 틈 없이 한 방향으로 계속 전진해 왔다. 메커니즘 안에는 구조가 숨어 있다. 구조는 시계의 부품 앵커와 같다. 앵커는 닻인데 시계의 핵심부품이다.


    배의 닻처럼 T자 모양으로 생긴게 시계추처럼 왕복하며 방향을 바꾼다. 1로 2의 역할을 한다. 모든 매커니즘에는 이런게 반드시 있다. 둘 사이에도 접점에 그런게 있다. 그것은 각이다. 세상은 각이다. 구조는 각이고 각은 의사결정한다. 세상은 의사결정으로 모두 설명된다.


    매커니즘은 둘이 연결되어 이것이 움직이면 저것이 따라서 움직이는 것이다. 그 이것과 저것 사이에 구조가 있다. 구조는 의사결정한다. 왜인가? 에너지가 태워져 있기 때문이다. 그 에너지가 작동하는 범위가 계다. 메커니즘과 구조가 갖추어지면 에너지를 태울 수 있다.


    황소 등에 짐을 실을 수 있다. 그런 구조가 있어야 한다. 비로소 세상이 작동한다. 에너지를 태울 수 있어야 한다. 속도조절이 가능해야 한다. 조절되지 않는 것들도 있지 않을까? 두 가지다. 하나는 빠져나가는 것이며 하나는 잠시 유지되는 것이다. 빠져나가는 것은 정보다.


    잠시 유지되는 것은 운동이다. 세상은 량과 정보의 눈에 보이는 것, 운동과 시간의 변하는 것, 구조와 공간의 의사결정하는것, 메커니즘과 물질의 대칭구조, 계와 에너지의 사건으로 전부 설명된다. 풍선효과와 같다. 이곳에 없는 것은 저곳에 있다. 이곳과 저곳사이다.


    에너지 - 계와 사건
    물질 - 메커니즘, 축과 대칭
    공간 - 구조와 의사결정
    시간 - 운동과 변화
    정보 - 량과 정보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20.06.15 (15:20:29)

"큰 가닥을 잡아버리면 편하다. 나머지는 술술 풀린다."

http://gujoron.com/xe/1211052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766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updateimage 7 김동렬 2024-06-12 941
939 김마담 대 김마담 4 김동렬 2022-07-19 4093
938 원효의 화쟁사상 5 김동렬 2022-07-19 4214
937 조폭은 종교다 1 김동렬 2022-07-21 4087
936 구조론의 탄생 김동렬 2022-07-22 3223
935 윤석열의 살 길은? 3 김동렬 2022-07-23 3709
934 천부경 팔이 천공도사 image 김동렬 2022-07-23 3905
933 이해하기와 창의하기 1 김동렬 2022-07-24 3275
932 온난화의 위기와 고통의 방정식 김동렬 2022-07-24 3544
931 한국의 미래는 영국인가, 중국인가? 1 김동렬 2022-07-25 3470
930 돈 키호테의 의미 김동렬 2022-07-25 3927
929 이상은 이상하다 김동렬 2022-07-25 4318
928 인류 최고의 아이디어는 무엇인가? 김동렬 2022-07-26 3822
927 윤석열 폭탄이 터졌다 1 김동렬 2022-07-26 4602
926 구조와 권력 김동렬 2022-07-27 3250
925 윤석열이 까이는 이유 김동렬 2022-07-27 4397
924 이기는 힘 김동렬 2022-07-29 4295
923 국민이 잘못했다 1 김동렬 2022-07-30 3673
922 계급배반 투표? 지식배반 종교는? image 김동렬 2022-07-31 3824
921 이기는 방법 김동렬 2022-07-31 3673
920 구조론에 중독되기 김동렬 2022-08-01 3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