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977 vote 0 2020.06.11 (17:54:21)

    구조의 발견


    나는 세상이 메커니즘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메커니즘이라는 단어도 모를 때였다. 바람이 분다? 아니다. 부는 그것이 바람이다. 모든 것은 메커니즘으로 설명되어야 한다. 언어는 주어와 동사다. 주어는 어떤 대상을 가리키고 동사는 그 변화를 지시한다.


    동사는 움직임을 나타낸다. 바람은 불고, 불은 타오르고, 물은 흐른다. 흐르는 메커니즘이 물이고, 타오르는 메커니즘이 불이고, 불어대는 메커니즘이 바람이다. 버티는 메커니즘이 돌이고, 살아가는 메커니즘이 사람이다. 세상을 바라보는 다른 방법의 발견이다.


    사랑도 메커니즘이고, 자유도 메커니즘이고, 국가도 메커니즘이다. 나는 사랑한다? 아니다. 사랑의 메커니즘에 올라탄 거다. 버스의 승객처럼 말이다. 인류는 진보한다? 그것은 진보의 메커니즘에 단체로 올라탄 거다. 인류문명이라는 버스의 승객이 되어서.


    메커니즘을 깨닫자 모든 것이 시시해졌다. 진보든 보수든, 민주주의든 전체주의든, 자본주의든 사회주의든 메커니즘이다. 메커니즘은 둘이 엮여서 하나를 이룬다. 그러므로 논쟁할 수 없다. 거기서 인류의 모든 쟁점은 해소된다. 둘은 곧 하나이기 때문이다.


    하나를 앞에서 보면 진보고 뒤에서 보면 보수다. 그것은 관측자의 문제다. 존재의 사실과 상관없는 관측자의 자기소개다. 에너지가 기준이어야 한다. 에너지는 일방향성을 가진다. 엔트로피다. 이것이 절대적인 기준이 된다. 관측자가 기준이 되면 안 된다.


    관측자는 앞이나 뒤에 위치한다. 대상은 움직인다. 처음에는 앞에 있었는데 어느새 뒤에 가 있다. 관측자가 이동하는 것이다. 관측자는 자신이 꼼짝하지 않았다고 믿는다. 상대성의 원리다. 둘 중의 어느 쪽이 움직이든 같다. 무조건 관측자는 움직여져 있다.


    불변의 진리를 찾으려면 관측자가 나란히 따라가야 한다. 그러려면 관측자가 버스에 탑승하고 있어야 한다. 버스의 닫힌계를 확정하고 계 내부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추적해야 한다. 계를 확정하고 계 내부의 변화를 추적하는 관점이 절대적인 기준이 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20.06.12 (10:08:59)

"메커니즘은 둘이 엮여서 하나를 이룬다. 그러므로 논쟁할 수 없다."

http://gujoron.com/xe/1210372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3491
6147 깨달음의 의미 2 김동렬 2011-06-16 15803
6146 황정민이 맞습니다. O 2002-12-01 15803
6145 죄 많은 김근태여 떠나라! 김동렬 2002-11-04 15801
6144 Re..저는 기아에 만원 걸겠습니다. ^^ 스피릿 2002-10-31 15798
6143 개혁당 유시민은 출마준비를 서둘러야 김동렬 2002-11-19 15797
6142 글쎄... 영호 2002-12-04 15795
6141 '그 대세론이 우리 것이 아니라는 게 문제지' image 김동렬 2002-12-08 15794
6140 생활보호대상자 할머니의 10만원 김동렬 2002-12-12 15792
6139 극한의 법칙 김동렬 2008-07-08 15784
6138 갈라파고스 일본 김동렬 2009-10-13 15777
6137 이회창은 언제 복귀할 것인가? 정답..413총선 직전에 복귀한다. 김동렬 2003-01-18 15777
6136 매국세력 대 민족세력의 대결 2005-08-06 15776
6135 할 말이 없도다. image 1 김동렬 2009-12-17 15772
6134 탈DJ는 하되 DJ 전면 공격은 절대 안된다. skynomad 2002-10-31 15771
6133 감을 잡는 훈련 김동렬 2009-01-01 15765
6132 김근태 배신의 계절 김동렬 2002-10-15 15765
6131 아돌프 아이히만과 한나 아렌트 image 1 김동렬 2017-09-25 15764
6130 조병옥은 친일파인가? image 김동렬 2003-12-15 15764
6129 정동영의 부전승 image 김동렬 2003-12-29 15763
6128 정동영바람이 분다 김동렬 2004-01-13 157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