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103 vote 0 2020.06.11 (17:54:21)

    구조의 발견


    나는 세상이 메커니즘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메커니즘이라는 단어도 모를 때였다. 바람이 분다? 아니다. 부는 그것이 바람이다. 모든 것은 메커니즘으로 설명되어야 한다. 언어는 주어와 동사다. 주어는 어떤 대상을 가리키고 동사는 그 변화를 지시한다.


    동사는 움직임을 나타낸다. 바람은 불고, 불은 타오르고, 물은 흐른다. 흐르는 메커니즘이 물이고, 타오르는 메커니즘이 불이고, 불어대는 메커니즘이 바람이다. 버티는 메커니즘이 돌이고, 살아가는 메커니즘이 사람이다. 세상을 바라보는 다른 방법의 발견이다.


    사랑도 메커니즘이고, 자유도 메커니즘이고, 국가도 메커니즘이다. 나는 사랑한다? 아니다. 사랑의 메커니즘에 올라탄 거다. 버스의 승객처럼 말이다. 인류는 진보한다? 그것은 진보의 메커니즘에 단체로 올라탄 거다. 인류문명이라는 버스의 승객이 되어서.


    메커니즘을 깨닫자 모든 것이 시시해졌다. 진보든 보수든, 민주주의든 전체주의든, 자본주의든 사회주의든 메커니즘이다. 메커니즘은 둘이 엮여서 하나를 이룬다. 그러므로 논쟁할 수 없다. 거기서 인류의 모든 쟁점은 해소된다. 둘은 곧 하나이기 때문이다.


    하나를 앞에서 보면 진보고 뒤에서 보면 보수다. 그것은 관측자의 문제다. 존재의 사실과 상관없는 관측자의 자기소개다. 에너지가 기준이어야 한다. 에너지는 일방향성을 가진다. 엔트로피다. 이것이 절대적인 기준이 된다. 관측자가 기준이 되면 안 된다.


    관측자는 앞이나 뒤에 위치한다. 대상은 움직인다. 처음에는 앞에 있었는데 어느새 뒤에 가 있다. 관측자가 이동하는 것이다. 관측자는 자신이 꼼짝하지 않았다고 믿는다. 상대성의 원리다. 둘 중의 어느 쪽이 움직이든 같다. 무조건 관측자는 움직여져 있다.


    불변의 진리를 찾으려면 관측자가 나란히 따라가야 한다. 그러려면 관측자가 버스에 탑승하고 있어야 한다. 버스의 닫힌계를 확정하고 계 내부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추적해야 한다. 계를 확정하고 계 내부의 변화를 추적하는 관점이 절대적인 기준이 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20.06.12 (10:08:59)

"메커니즘은 둘이 엮여서 하나를 이룬다. 그러므로 논쟁할 수 없다."

http://gujoron.com/xe/1210372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299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119
1190 유시민은 대구 출마를 선언하라 image 김동렬 2003-05-03 14851
1189 똥줄 타는 이회창 후보.. ^^ 시민K 2002-10-24 14853
1188 참여정부 3년에 김동렬 2006-02-28 14853
1187 신해철의 무개념 1 김동렬 2009-03-13 14853
1186 다이하드 노무현편 아다리 2002-10-28 14854
1185 부처를 넘어서 image 5 김동렬 2011-02-23 14855
1184 DJ신경망과 노무현 호르몬의 찰떡궁합보고서 image 김동렬 2003-07-09 14857
1183 한나랑 멸망사 image 김동렬 2004-03-24 14857
1182 사진 image 김동렬 2003-04-10 14858
1181 안다는 것의 출발점 김동렬 2006-06-09 14858
1180 Re..진짜 성질 같으면 그러면 좋겠네요. skynomad 2002-10-18 14861
1179 Re..양빈은 천안문사태를 팔고 다녀서 김동렬 2002-10-08 14862
1178 명계남이 노무현을 찔렀다 김동렬 2005-04-01 14862
1177 몇 가지 물어봐도 되나여? 탱글탱글 2002-12-24 14871
1176 한 해 동안 필드에 서른 다섯 번 나갔다는데 김동렬 2003-07-25 14871
1175 못말리는 서프라이즈 image 김동렬 2003-12-22 14876
1174 예측툴 3 김동렬 2010-06-15 14876
1173 안이하게 보는 신당논의 김동렬 2003-05-25 14878
1172 세상을 꿰는 첫 단추 image 김동렬 2011-08-13 14881
1171 존재론과 인식론 image 3 김동렬 2012-04-18 148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