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수원나그네
read 1427 vote 0 2020.06.09 (15:53:23)

올해도 학생주도형 출제와 상호평가를 시도합니다~
이번학기는 코로나19 때문에 수업을 화상회의방식으로만 진행하는 경험을 했는데,
나름대로 장점도 있는 방식입니다.

어쨌든 AI(인공지능) 시대에 접어들면서 지식의 이해만을 기하는 수동적인 접근으로는
능력배양에 한계가 있다고 보고,
의제를 설정하고 논리적인 전개를 해가는 능력을 배양하는 훈련을 겸하는 데 학습목표를 두고자 합니다.
그리고 평가하는 능력까지~

작년에 첫 시행한 내용은,
http://gujoron.com/xe/gujoron_board/1090533
그 결과가 나온 걸 보면,
http://gujoron.com/xe/1102193

올해는 작년의 시행착오를 보완하여 다음과 같이 시행합니다~

<학생 스스로 문제를 출제하고 답변하고 평가하는 학기말 시험>

(수원대 건축도시부동산학부 1학년 도시계획개론)

1.공부하는 과정에서 관심이 있고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주제에 대해 심도있게 공부해두기.
2.학기말에 스스로 문제를 출제하고 답변하는 시험을 치르게 됨. 문제수의 제한은 없고, 그 문제를 선택한 이유를 병기하여야 함.  오픈북 오픈노트 폰/PC 가능
3.평가기준은 45점만점 (의제설정능력15점, 논리전개능력20점, 평가능력10점) 시험시간은 지정시간90분. 모든 글과 그림은 손으로 쓰고 그려야 함.
4.답안지는 A4 한 장의 양면을 활용하여 작성한 후 답안을 폰으로 찍어서 지정하는 사이트에 각자 동시에 올리기.

이원영교수과제카페에 마감 직후 올리기.  http://cafe.daum.net/reportleewy/9n1b

누구나 답안을 볼 수 있도록 함. 잠정 시험일은 제14주가 되는 6월22일.
5.올려진 답안(90여개)을 모두가 각자 모두를 3일간 평가하여, 상위 10개를 순서대로 비밀댓글로 올리기.
6.교수의 최종평가후 각자 올린 것과 대비하여 적중율을 평가하여 <평가능력10점>에 반영.
7.그러므로 각자 다른 이들의 답안 모두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다른 이들의 관점을 공부하고 평가하는 능력을 배양하게 됨.

(현재로서는 오프라인 시험 가능성도 엿보고 있는데, 만약 온라인 시험일 경우는 A4 답안용지에 교수싸인을 넣어서 PDF파일을 시험직전에 공지하고 학생들이 출력한 후 그 답안지 위에 직접 손으로 작성하여 올릴 것)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상우

2020.06.10 (09:42:12)

얼마전 확인한 대학생들의 온라인 수업 컨닝을 불가능하게 하는 문제네요.

스스로 문제내고 풀기가 시야를 넓여주지요. 풀고 서로 공유하고 평가하면서 학생들이 준교수급이 되겠네요.

저도 애들이랑 수업시간에 수학문제 풀고 꼭 마지막에는 스스로 문제 만들어 풀기 시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수원나그네

2020.06.10 (10:18:13)

좋은 방식이네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807
1715 툭. -아제 관리자* 2012-10-21 2803
1714 가지치기 -부하지하 관리자* 2012-10-21 3234
1713 묶기,옮기기,풀기. -아제 관리자* 2012-10-21 2913
1712 싸이도 김기덕도 정답이 아니다 -오세 image 관리자* 2012-10-21 3490
1711 구조가 느껴지는것 같다. -soul 관리자* 2012-10-21 3489
1710 대한민국, 존엄의 자궁을 만들다. -담 관리자* 2012-10-21 2905
1709 문재인과 문재인들은, 비선출 권력을 민주화하라. -담 관리자* 2012-10-21 3039
1708 애니팡 피할 수 있을까? -담 관리자* 2012-10-21 2994
1707 한 700억 쯤 한가하게 살 수 있다면 -담 관리자* 2012-10-21 2934
1706 家族하라. - 아제 관리자* 2012-10-21 2749
1705 "애니팡 하트시스템" 이거 재미있다. -담 관리자* 2012-10-21 4719
1704 둘 과 셋 -지여 관리자* 2012-10-21 2874
1703 차 한잔 어떻소. -아제 관리자* 2012-10-21 3102
1702 소집의 종소리. -아제 관리자* 2012-10-21 2895
1701 정보기반 문명이란 깨달음의 계절이다, 혁명의 일상화다 -담 1 관리자* 2012-10-21 3503
1700 쌈지뜨면 지나니.. 1 아제 2012-10-22 3324
1699 정보문화콘텐츠 생산 지원 시스템 ░담 2012-10-26 3042
1698 김기덕이 영화 "아리랑"으로 한 일 2 ░담 2012-10-26 3938
1697 21세기의 민족 image 눈내리는 마을 2012-10-27 2825
1696 민 놈이 진짜다. 2 아제 2012-10-28 3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