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1268 vote 0 2020.05.15 (14:41:28)


 명목의 논리 이전에 에너지의 논리가 있다. 에너지의 논리는 작동논리, 동적논리이다. 컴퓨터가 좋다고 해도 우선 코드를 꽂아야 한다. 최저임금 인상이 옳다고 해도, 새 시장을 열어주고 대기업의 암묵적 합의를 받아내야 한다. 이성이 좋아도 취직부터하고 비전을 제시해야 데이트가 된다. 집단은 옳은 길을 가는게 아니라 갈수 있는 길을 간다. 갈수 있는 길은 배후지를 확보하고 밑바닥 에너지의 작동에 맡겨야 한다. 나와 상대방은 중요하지 않다. 우리가 공유하는 사건에서 에너지가 지속적으로 투입되고 있는가가 중요하다.  자동차 엔진이 좋은데 휘발류를 넣지 않는다면? 엔진은 돌아가는데 바퀴까지 동력이 연결되지 않는다면?

사건안에서 에너지가 연결되는 통제라인이 있다. 회사라면 이사회 > CEO > 부장의 라인이 있고 국가라면 여론(지지율) > 대통력 > 정책의 라인이 있다. 대통령은 좋은데 지지율이 꽝이라면? CEO는 훌륭한데 이사회의 지지를 못받는다면? 대통령인데 대통령이 아니고 ceo인데 ceo가 아니다. 정책을 추진하려고 해도 외력을 끌여들이고 사회참여자의 과반수이상의 합의를 받아내는 단계가 필요하다. 뜻이 있는 정치인이라면 먼저 지지세력을 규합해야 말이되고, 사업가라면 신시장을 확보해야 멤버를 얻는다. 


 정치를 하지않는 정치인은 정치인이 아니고, 뛰지않는 엔진은 엔진이 아니다. 그렇다면 역으로 어떤 것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사건의 동적인 에너지 처리과정 속에서 어떤 것이 명명된다. 달리지 않는 자동차는 자동차가 아니라 고물이다. 그렇다면 사회란? 집단을 동원하여 환경을 극복하는 동적과정이다. 집단의 에너지를 동원하는 수준이 또 동원한 에너지로 환경에 대응하는 수준이 사회라는 동적사건의 자체완결성을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이해되는가? 상대성의 세계와 절대성의 세계가 있다. 새 세상이 열려버렸다. 국가라면 어떻게 라이벌 국가를 이길지에 초점이 맞춰지는게 인간의 수준이다. 의사결정은 대칭을 사용하고 대칭은 상대방을 이용한다. 그것은 이성이 아니라 원시의 본능에 가깝다. 절대성의 세계는 사건자체의 에너지처리의 완결성을 쫓는다. 전율하는가? 답이 나와버렸다. 사회의 수많은 논의가 평면상에서 이것이냐 저것이냐는 상대성의 대칭논리에 불과하다. 수준낮은 논의들을 작살내 버리는데 쾌감을 느낄 수 있어야 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121
2008 혈액형 삼국지 image 2 김동렬 2013-02-09 7377
2007 언어의 의미란 무엇인가? 1 김동렬 2016-10-01 7365
2006 붉은 수수밭 image 김동렬 2013-10-23 7345
2005 남극빙어와 진화 4 다원이 2009-04-14 7343
2004 질문 -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image 24 김동렬 2013-01-11 7336
2003 최악의 디자인 제네시스 image 3 김동렬 2013-11-14 7321
2002 척력. 2 아제 2010-07-14 7297
2001 바둑을 하면 머리가 좋아진다? 3 오세 2010-07-15 7290
2000 비움과 채움의 균형잡기 image 3 ahmoo 2009-05-14 7285
1999 서정윤 시인은 왜 망가졌을까? 3 김동렬 2013-11-20 7261
1998 안녕하십니까? 감히 요청드립니다. 20 나투나 2010-07-21 7260
1997 구조론적 언어진화론의 가능성 4 LPET 2009-11-15 7260
1996 같다와 다르다. 2 아제 2010-07-28 7253
1995 MSG는 유해한가? 9 김동렬 2013-03-04 7246
1994 김동렬님께 질문이 1 나그네 2008-01-26 7215
1993 격투기에 관한 구조론적 해석 image 2 양을 쫓는 모험 2011-10-02 7201
1992 라운키에르 식물 생활형 분류 챠우 2015-01-14 7192
1991 생물의 진화 image 5 김동렬 2013-11-12 7173
1990 한글의 과학성 김동렬 2012-10-30 7171
1989 깨달음을 그리다 영번역 두 번째 image 15 ahmoo 2010-01-18 7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