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1562 vote 0 2020.05.06 (05:42:36)

상대와의 대화라는 언어의 형식이 사고를 제한한다. 대화는 대상이 있어야 하고, 그 대상과의 대칭관계로 대화를 만들어가기 때문이다. 대칭이냐 비대칭이냐, 상대어냐 절대어냐의 문제가 있다. 

타자성의 문제와도 통한다. 나와 타자사이의 벽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토대를 확보해야 한다. 토대가 절대어다.

사건을 통제하려는 사람은 토대를 확보해야하고, 사건을 언어에 반영하려면 절대어를 확보해야 한다. 

즉 핑퐁형식의 대칭관계를 넘어서, 절대어의 비대칭적 전개를 언어화해야 한다. 

문명의 지속가능한 발전 혹은 지속가능성이라는 단어가 유행했던 적이 있다. 누군가가 머리를 써서

만들어낸 멋진 단어다. 사건이 반영된 언어는 토대(에너지원)을 확보해 비대칭적으로 자체 전개할 수 있다.


타자와의 경계선에 전율해야 한다. 먼저 토대를 확보해야 발언권을 얻는다.

인간들은 멋쩍은 웃음으로 경계선의 문제를 해결하려 하지만 동물의 방법이다. 

언어가 당당해야 한다. 절대어를 확보해야 한다.

한쪽에서는 문명, 사회, 역사, 진보, 진리를 이야기하는데 한쪽에서 나, 너를 이야기하면 언어의 격이 떨어지는 것이다.

결국은 언어의 문제에 관점의 문제가 연동된다. 상대어냐 절대어냐에 따라 자신이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이

드러나는 것이다. 세상을 통합의 관점으로 바라볼 수 있어야 사회적 발언권을 얻는다. 


[레벨:15]오민규

2020.05.27 (22:59:04)

"상대와의 대화라는 언어의 형식이 사고를 제한한다."
언어는 대화하는데 맞추어져 있는데 언어를 가지고 사고를 하니 뭔가 문제가 생기는 것 아닌가 싶네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6871
637 맞다고 생각하시오? 11 김동렬 2013-07-31 6301
636 생각의 정석 5회 1 오세 2013-07-25 4733
635 못하는 능력 담 |/_ 2013-07-24 3842
634 진격의 강물. 4 아제 2013-07-24 4374
633 우리말과 힌디어의 유사성 3 김동렬 2013-07-23 5992
632 덴마크 웨이터는 행복하다? 5 김동렬 2013-07-23 4863
631 왜 태어났습니까? 10 김동렬 2013-07-22 5739
630 나는 누구인가. 4 아제 2013-07-21 4405
629 생각의 정석 v 1.1 4회 오세 2013-07-18 3453
628 625때 중공군 사상자 숫자 7 김동렬 2013-07-15 23310
627 독수리 오형제의 실패 image 김동렬 2013-07-15 21554
626 생각의 정석 1.1v 3회 2 오세 2013-07-11 4004
625 대답해도 되는 질문 17 김동렬 2013-07-09 5345
624 국가범죄 1. 의심조장 1 오세 2013-07-08 3829
623 문답 - 나쁜 글의 예 11 김동렬 2013-07-08 5905
622 질문 - 이 사람의 잘못은? image 16 김동렬 2013-07-03 7624
621 생각의 정석 3회 주제 1 오세 2013-07-03 4023
620 무엇이 문제일까요? 5 김동렬 2013-07-02 4778
619 중심 담 |/_ 2013-06-30 3813
618 존엄 OS 담 |/_ 2013-06-30 4745